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은 4일 대·중소기업간 합의 지연으로 난항을 겪은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과 관련, "기득권과 작은 이익에만 몰두하면 살아남을 수 없다. 우리 모두 그 점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정운찬 위원장은 이날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제 9차 동반성장위원회'에 참석해 "대기업은 대기업대로 손에 쥔 기득권을 놓지 않으려고 했다. 중소기업은 자신의 이익에만 매몰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 위원장의 다소 불만섞인 대·중소기업을 향한 이같은 '경고'는 동반성장의 시발점이나 다름없는 중소기업 적합업종·품목 선정이 난항을 겪으면서 동반성장 자체가 표류할지 모른다는 위기감이 위원회 안팎에서 제기된 것을 의식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앞으로 더 많은 동반성장 과제가 산적한 만큼 지금부터라도 대기업과 중소기업들이 '밥그릇 싸움'을 지양하고 상생해야한다는 주문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그러면서 정 위원장은 일각에서 평가절하하는 중소기업 적합업종의 상징적 의미를 강조했다.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과정은 순탄치 않은 난항을 겪었다. 우리 위원회는 대·중소기업간 자발적 합의를 시도했다"며 "대·중소기업이 각각의 시장에서 역할을 합의했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우리사회가 합의와 조정을 통해 시장질서의 새로운 사례를 만들었다"고 정 위원장은 말했다.
정 위원장은 이와 함께 사회양극화 해소를 위한 동반성장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월스트리트의 99%의 반란을 들어봤느냐"면서 "(상위)1%가 99%에게 돌아갈 사회적 이익을 가져가고 있다는 것에 대해 다수의 미국인들이 공감하고 있다. 우리도 이에 자유로울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1%의 부자들이 나머지 99%보다 18배 많은 부동산을 갖고 있다는 언론기사를 봤다"며 "이것은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양극화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고 우려했다.
정 위원장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은 각자의 영역에서 최선을 다하고 동반성장의 영역에서 상생해야 한다"면서 "아울러 동반성장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사회의 관심과 지원을 부탁한다. 민간기구의 발걸음이 조금 더디게 느껴지더라도 잠시만 더 지켜봐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