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배정전 기자] 법원이 줄기세포 논문 조작 논란을 일으킨 황우석(59) 전 서울대 수의과학대학 석좌교수의 파면 처분이 부당하다며 1심을 뒤집는 판결을 내렸다.
서울고법 행정7부(곽종훈 부장판사)는 3일 황우석 박사가 서울대 총장을 상대로 낸 파면처분 취소청구 소송에서 "파면은 비례원칙을 위반했거나 재량권을 벗어났다"며 1심을 깨고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연구 전체의 책임자로서 지휘감독 책임을 소홀히 해 조작된 논문이 발표됨으로써 서울대의 명예와 국가 위신을 실추시킨 점 등 징계 사유는 인정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주요 데이터 조작이 공동연구를 수행한 미즈메디 연구원에서 이뤄졌고 이러한 조작을 황 박사가 간파하기 어렸웠던 점, 2심까지 진행된 황 박사에 대한 형사재판에서 사기 혐의는 무죄가 선고된 점 등을 고려하면 가장 무거운 징계인 파면은 비례원칙에 어긋나거나 재량권을 벗어났다"고 판결요지를 설명했다.
이어 재판부는 "황 박사가 연구비 횡령 등 혐의로 2심에서 집행유예 판결을 받아 이 판결이 확정되면 당연 퇴직된다는 점, 징계위원회에 출석해 반성 의사를 밝히고 사직서를 제출했으며 문제의 논문을 철회한 점, 그동안 후학 양성에 힘써왔고 동물연구에 탁월한 업적을 남긴 점도 징계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데 고려했다"고 덧붙였다.
황 박사는 2004~2005년 사이언스지에 발표한 인간 줄기세포 관련 논문이 조작된 것으로 드러나면서 2006년 4월 파면됐다.
황 박사는 2006년 11월 "징계위원회가 증거 적격성을 갖추지 못한 조사위원회의 보고서를 기준으로 징계 혐의와 사유를 해석, 파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잘못 판단했다"며 파면 취소 소송을 냈으며 1심에서 패소했다.
황 박사는 앞서 지난해 말 줅기세포 논문 조작 사실을 숨기고 지원금을 받아내거나 연구비를 횡령한 혐의(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위반)로 기소돼 징역 1년6월에 집행유예 2년형을 선고 받았으며 현재 상고심이 진행 중이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