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쏟아지는 여론조사 결과, 어떻게 봐야하나

박대웅 / 기사승인 : 2011-10-17 16:32:10
  • -
  • +
  • 인쇄
표집 틀과 표본추출 및 조사규칙 준수 등을 중점적으로 봐야

여론.jpg

[데일리매거진=박대웅 기자]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9일 앞으로 다가왔다. 특히 이번 선거는 내년 4.11 총선거와 12.19대통령 선거의 전초전이라는 의미까지 부여받으며 그 어느 때보다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언론 역시 연일 여론조사 결과를 쏟아내며 관심을 방증하고 있다. 하지만 쏟아지는 여론조사 결과를 과연 민심의 정확한 반영이라고 볼 수 있을까?

17일 한겨레 신문과 한국일보 그리고 중앙일보는 여론조사 결과를 공표했다. 세 신문사 모두 큰 틀에서 일맥상통한 결과를 보였지만 세부적인 수치는 제각각이다. 중앙일보 조사에서 나경원-박원순 후보의 지지율은 40%-41%, 한겨레 조사에선 51.3%-45.8%, 한국일보 조사에선 38.4%-39.2%였다. 이런 차이는 어디서 오는 것일까?

# 표집 틀의 문제

과거 우리나라의 전화조사는 KT에 등재된 전화번호부나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를 표집 틀로 사용했다. 이에따라 KT집전화를 사용하지 않은 인구는 여론조사 결과에서 소외되는 '비등재'의 문제가 발생했다. 특히 KT 집전화를 사용하는 인구가 상대적으로 여당 성향이 높은 연령층이어서 '친여당'적 결과가 많이 도출됐다.

때문에 과거의 헛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여론조사에서는 '임의번호걸기(RDD;Random Digital Dialing)'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 방식은 KT집전화는 물론 핸드폰 사용자까지 모두 포함해 표집 틀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여론조사의 의미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표집 틀을 모집하는 방식에 집중해야 한다.

# 표본추출 방식의 문제

과거 전화조사의 문제는 추출된 표본가구원 중 누구와 면접을 하게 되느냐다. 특히 성별과 나이대에 표본 수 할당 방식을 쓰고 있는 상황에서 전화조사 방식이 성별, 나이 및 계층, 재택률 등의 인구적 속성과 사회-계층적 속성까지를 다 반영하지 못한다.

때문에 성별과 나이, 계층의 성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나이, 계층, 성별 따위의 '할당변수'를 어떻게 강화했는지를 봐야 한다. '할당변수'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는 상황에서 나온 조사결과는 임의표집에 따른 결과다. 이럴 경우 자의적 해석을 경계해야 한다.

이에 수집된 표본이 모집단의 인구사회적 구성을 반영하기 위해 적절한 가중치를 산출하여 모집단과 표본집단 사이의 차이를 보정했는지를 살펴야 한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적극투표층'이라는 이름으로 투표의향의 차이를 최대한 반영하고 있다.

# 조사규칙의 준수

전화조사의 경우 통화중, 조사거절, 부재중 통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럴 경우 조사회사들이 어떻게 재통화(Call-back) 규칙을 적용하는가, 얼마나 엄격하게 적용하는가, 성공한 유효 응답 외 면접에 실패한 사례 수를 집계하고 있는가, 그 결과는 무엇인가를 꼼꼼이 살펴야 한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핫이슈 기사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