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배정전 기자]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18일 대규모 정전 사태와 관련해 “지식경제부가 피해 대책도 얘기하고 재발 방지도 약속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게 청와대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 거취와 관련한 질문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 그는 최 장관에게 “이번 사태에 대해 정점에 있는 사람이 법적인 문제가 아니라 도의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본인이 청와대 수석도 했으니 잘 판단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앞서 청와대는 이날 오전 임태희 대통령실장 주재로 구수회의를 열어 최 장관이 도의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은 뒤 이 같은 입장을 최 장관에게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가 경질하는 모양새가 아니라, 최 장관이 사퇴 의사를 밝혀야 한다는 압박이다. 다만 최 장관이 사의 표명 후 곧바로 사퇴할지, 아니면 일단 사의 표명를 한 뒤 이번 사태를 수습하고 국정감사까지 마무리한 다음에 사퇴할 지는 결정되지 않은 상태다.
이 관계자는 “감정도 감정이지만, 이성적 문제도 생각해봐야 한다”면서 “국감도 해야 하고 하니까 유정복 전 농림수산식품 장관(이 구제역 확산 문제로 책임질) 때처럼 유예 기간을 둬서 선수습을 하고 적당한 시점에 (사퇴)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그것도 하나의 모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최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자리에 연연하지 않고 재발방지 대책과 원인 규명에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