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파주] 폐사율 최대 100% '아프리카돼지열병' 국내 첫 발생 전국 비상경계

안정미 기자 / 기사승인 : 2019-09-17 09:23:11
  • -
  • +
  • 인쇄
농식품부, 48시간 돼지농장 이동중지 조치

20190917_091537.png
▲사진=''파주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진' 발표하는 김현수 장관 [제공/연합뉴스]


[데일리매거진=안정미 기자] '돼지 흑사병'으로 불리는 폐사율 최대 100%에 이르는 치명적인 돼지 전염병인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경기도 파주에서 처음으로 발생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6일 경기도 파주시의 한 양돈농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했다고 17일 발표했다. 이 양돈농장 관리인은 16일 오후 6시께 숨져 있는 모돈 5두를 발견해 농식품부에 신고했다.


폐사한 돼지는 모두 고열 증상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돼지농장에서는 2천450두의 돼지를 사육하고 있으며 신고 농장 3㎞ 이내에 다른 양돈 농장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농식품부는 이 양돈농장에서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경로 가운데 하나로 알려진 잔반 급여는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농장주는 최근 3개월간 농장 관계자들이 외국을 방문한 적이 없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자돈 폐사가 없고 모돈에서 폐사가 일어난 상황을 고려할 경우 비교적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초기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 전염병이 발생한 베트남 경우를 보면 아프리카돼지열병은 다른 돼지열병과 달리 모돈에서부터 먼저 폐사가 발생하고 자돈, 비육돈에서 폐사 증상이 확인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돼지 흑사병'으로 불리기도 하는 이 질병은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는다.


그러나 돼지는 한번 감염되면 폐사하는 치명적인 병이다. 아직 백신이나 치료 약이 개발되지 않았다.


20190917_090902.png
▲사진='돼지 흑사병'으로 불리는 폐사율 최대 100%에 이르는 치명적 돼지 전염병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경기도 파주에서 발생 -인포그래픽 [제공/연합뉴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감염된 돼지 및 돼지 생산물의 이동, 오염된 남은 음식물의 돼지 급여, 야생멧돼지 등을 통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잠복기는 3일에서 최장 21일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지난달 5월 30일 북한에서 발생했으며 앞서 지난해 중국과 베트남, 미얀마 등 아시아 주변국에서 확산했다.


중국에서는 지난해 4월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생긴 이후 돼지고깃값이 40% 넘게 오르는 등 아프리카돼지열병은 돼지고기 가격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줬다.


정부는 올해 5월 북한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병한 후 방역에 힘을 쏟았다.


농식품부는 전국 모든 양돈 농장을 대상으로 돼지 혈액검사를 하고 방역 작업을 펼쳐왔으나 결국 국내에 유입됐다.


한편 김현수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은 1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농림축산식품부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파주에서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진 결과와 예방조치에 대해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발생농장 등 돼지 3천950마리를 살처분하는등 조치를 취하는 것과 현재의 위기경보를 '심각'으로 격상하고 동시에 이날부터 남은 음식물 양돈농가 반입 전면금지하는 등의 대책을 발표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핫이슈 기사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