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2일 오후 서울 강남구 스마트워크센터에서 총파업을 앞두고 열린 교육당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간 막판 협상에서 교육당국 측 김선욱 광주광역시교육청 과장이 발언하고 있다. [제공/연합뉴스]
[데일리매거진=이상은 기자]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의 총파업이 예정대로 3일부터 사흘간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교육당국과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2일 오후 1시부터 총파업을 하루 앞두고 벌인 막판협상이 서로의 입장만 확인하고 결국 협상이 결렬됐다.
이날 교육부와 연대회의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부터 서초구 고속버스터미널 내 스마트워크센터와 용산구 서울시교육청 교육시설관리본부 등 장소를 옮겨가며 진행된 양측의 실무교섭단 협상이 서로의 입장차만을 확인한 채 오후 7시께 끝이 났다.
이에 따라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의 총파업은 예정대로 3일부터 9만명이 참여해 사흘간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연대회의 측은 3일 있을 광화문광장 집회에는 4만명이 참여하는 등 연인원으로 9만명이 이번 파업에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대회의의 주요 요구사항은 문재인 정부 임기 내 '9급 공무원 80% 수준'의 임금인상을 달성하기 위해 기본급을 6.24% 인상할 것과 각종 수당에서 정규직과의 차별을 해소하라는 것이다.
반면 교육당국은 기본급만 1.8% 인상하자는 입장으로 알려졌다.
연대회의와의 협상이 결렬 되면서 파업이 현실화되자 전국 시·도교육청은 급식 운영을 비롯한 학사 전반에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경기도교육청은 도 교육청 파업대책반을 설치해 학생과 학부모 피해 및 교육 활동과 교육행정 지장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또 각급 학교도 학교장이 총괄하는 상황반 등을 두어 총파업에 따른 피해가 없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번 비정규직의 파업으로 일선 교육현장의 돌봄교실 운영, 특수학교 운영 등 학생 불편이 예상되는 분야에 교육당국은 다시 한 번 점검에 나서고 대책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특히 저소득층 학생에 대한 배려방안을 마련해 결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당부했다. 그러나 공립 특수학교인 광주 선광 학교의 경우 급식제공이 어려운 실정이어서 장애 학생들에게는 큰 불편이 예상된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