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2016냔 도쿄 쓰키지 시장의 중간 도매상 구역에 판매용 생선이 진열돼 있는 모습 [제공/연합뉴스DB]
[데일리매거진=이상은 기자] 일본 정부가 내달부터 한국에서 수입하는 넙치(광어)와 조개류 등 수산물에 대한 검사를 강화한다고 발표하면서 후쿠시마 등 일본 7개 현 수산물 수입 금지 조치가 세계무역기구(WTO)의 분쟁 판결에서 패소한 데 따른 보복성 조치 의혹에 논란이 커질 전망이다.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 후생노동성은 지난30일 일본 국민의 건강 확보와 식품 안전성 강화 차원의 대응이라며 이같이 발표하고 "(후쿠시마산 등의 수산물 수입을 금지한)한국에 대한 대응조치는 아니다"라고 주장하면서도 이날 한국에서 수입된 넙치(광어)와 조개류등 다른 수산 식품에 대한 견제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후생노동성은 극구 이번 결정이 식중독 예방을 위한 것이라며, 한국의 후쿠시마 등 일본 7개 현 수산물 수입 금지 조치에 대한 대응책이 아니라고 주장하고있다.
그러면서 한국산 넙치에 대한 검사를 강화하는 이유에 대해 "일본 내에서 한국산 넙치 등에서 기생충인 '쿠도아'를 원인으로 하는 식중독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재차 강조했다.고 산케이신문은 전했다.
일본 정부는 다음 달부터 한국산 수산물에 대한 검사를 더욱 강화하고 그 비율을 평소 20%에서 40%로 올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내에서 수출하는 거의 모든 수입품에 일본의 강도 높은 검사가 적용될 예정이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기자회견에서 "최근 수입 수산물에 의한 식중독이 발생한 여름철에 국민의 건강을 지키는 차원에서 나온 조치"라며 "이런 강화된 점검은 항상 정기적으로 이뤄져 왔다" 고 일본 산케이신문은 전했다.
한편 이같은 일본 정부의 이해 못 할 이번 조치에 대해 산케이신문도 한국산 수산물 규제 강화에 대해 "매우 이례적"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