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이재만 기자] 북한 자강도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하자 정부가 31일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구체적인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지난 30일 북한 당국은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 23일 자강도 우시군 북상 협동농장에서 돼지열병이 발병했으며 25일 확진됐다는 사실을 보고했다.
북한은 농장에서 사육중이던 돼지 99마리 중 77마리가 아프리카 돼지열병으로 폐사했고 22마리는 살처분했으며 이동제한, 봉쇄지역 및 보호지역의 예찰, 사체·부산물·폐기물 처리, 살처분, 소독 등의 방역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북한까지 확산되며 우리나라도 비상이 걸렸다. 북한에서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남과 북을 넘나드는 야생 멧돼지를 매개체로 국내로 넘어올 수 있기 때문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에 걸린 야생 멧돼지의 침이나 오줌, 분변 등에 국내 사육돼지가 접촉되면 감염될 수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 방역당국이 공항·항만 등 차단방역에 적극 나서면서 성공적으로 방어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접경지역인 북한에서 발생되면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ASF가 북한 남쪽으로 전파되어 휴전선 부근까지 내려올 경우 우리나라도 안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방역당국은 휴전선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멧돼지를 통한 유입 가능성에 대비해 임진강·한강 하구 등 휴전선 접경지역에 대한 차단방역을 더욱 심혈을 기울일 방침이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멧돼지를 통해 (국내) 유입되지 않도록 비무장지대와 임진강 하류를 완벽히 방어해야 한다"며 방역상황 점검과 차단방역 조치를 주문하고, 통일부에도 북한과의 방역 협력방안을 검토할 것을 지시했다.
한편,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예방 백신이 없어 치사율이 100%에 이르며 바이러스 생존력이 매우 높은 가축 질병이다.
과거 아프리카와 유럽에서만 발생하다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중국, 몽골, 베트남 등으로까지 확산하면서 국내 유입 가능성이 커졌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