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서태영 기자] 정부가 올해 자율주행, 수소기술, 정보통신기술(ICT) 등 표준혁신 역량 강화에 전년보다 8.6% 늘어난 2751억원을 투입한다.
1일 국가표준심의회에 따르면, 기업의 혁신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16개 부‧처‧청 합동으로 ‘2019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을 수립해 이같이 밝혔다.
올해 국가표준시행계획은 4차 산업혁명 관련 신산업 분야 핵심기술 국가표준 제정과 국제표준을 제안에 초점을 맞췄다. 민간 표준화 수요를 적극 발굴·반영한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했다.
시행계획은 2016년에서 2020년까지 추진되는 제4차 국가표준기본계획의 12대 중점추진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이행과제로 구성했다. 총 99개 세부과제 투자 사업이 포함됐다.
우선 산업부는 전기차, 수소기술 등 스마트‧융복합 핵심기술 표준을 집중 개발한다. 지속가능사회 구현을 위한 서비스 표준화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5G, IoT, SW 등 첨단 ICT 분야 기술 표준화를 추진한다. 기업의 ICT 표준화 역량 제고를 지원할 방침이다.
행안부는 정부 웹사이트의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해 효율적인 전자정부 표준화를 추진한다.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민간 창업 및 비즈니스 창출을 지원하고자 공공데이터 개방표준을 확산할 계획이다.
중소기업의 표준화 활동 참여를 지원하는 한편 ICT표준화포러을 구성해 시장 중심의 표준화 활동도 지원한다.
이외에도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식품 표준과 한국 전통식품 및 수출 유망 가공식품류에 대한 국제표준화 활동을, 보건복지부는 의료-정보기술 융합 기반 조성을 위해 한국형 보건·의료 표준의 개발·보급을, 해양수산부는 김 제품 등 수산제품의 국제표준화를 추진한다.
이승우 산업부 국가기술표준원장은 “'범부처 참여형 국가표준 운영체계' 총괄기관으로서 올해 국가표준시행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해 표준화 업무 총괄·지원 기능을 강화할 것”이라며 “이번 시행계획은 우리가 만든 표준을 토대로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전략을 담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