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서울 중구 명동8길에 있는 화장품 전문점 네이처리퍼블릭 명동점
[데일리매거진=안정미 기자] 전국 표준 땅값을 일컫는 '표준지 공시가격'이 2008년 이후 11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1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표준지 공시지가는 전국 평균 9.42%, 서울 13.87%가 상승했다.
전년과 비교하면 전국 평균 3.4%, 서울은 2배 넘게 올랐다.
이는 정부의 공시가격 현실화 기조에 따른 것이다. 최근 가격이 급등했거나 상대적으로 시세와 격차가 컸던 고가토지(0.4%)를 중심으로 시세반영률을 끌어올리면서 표준지가 현실화율을 지난해 62.6%에서 2.2%포인트 높은 64.8%로 인상했다. 나머지 일반토지(99.6%)는 점진적으로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수도권(서울·인천·경기)은 10.37%, 인천을 제외한 광역시는 8.49%, 이밖의 시·군은 5.47% 각각 상승했다.
시군구별로 보면, 공시지가 상승률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 강남구로 23.13% 올랐다. 서울 중구(21.93%)와 서울 영등포구(19.86%), 부산 중구(17.18%), 부산 부산진구(16.33%) 등도 급등한 지역이다. 반면 제조업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전북 군산시(-1.13%)와 울산 동구(-0.53%)의 공시가격은 오히려 하락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최근 가격이 급등했거나 상대적으로 시세와 격차가 컸던 가격대의 토지를 중심으로 형평성을 제고했다"며 "중심상업지나 대형 상업‧업무용 건물 등 고가토지(전체의 0.4%)를 중심으로 공시가격 변동률이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