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안정미 기자]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44%가 '내 집'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주택소유통계 결과'에 따르면 작년 11월 1일 기준 전체 일반가구 1967만4000가구 중 주택을 소유한 가구는 1100만가구로, 주택소유율은 55.9%에 달했다. 전년보다 0.4%포인트(p) 증가했다.
그러나 전체의 44.1%인 867만4000가구는 주택이 없는 무주택 가구였다. 전년보다 다소 감소했지만 미미한 수준이다.
시도별로 주택소유율이 낮은 지역은 서울(49.2%), 대전(53.6%), 세종(53.6%)이었고, 반대로 높은 지역은 울산(63.2%), 경남(61.9%), 경북(60.0%) 등이었다. 주택소유율이 낮은 시 지역은 서울의 관악구(37.6%), 중구(41.7%), 광진구(42.3%) 순이었다.
주택소유율이 낮은 시 지역은 서울의 관악구(37.6%), 중구(41.7%), 광진구(42.3%) 순이었다. 1∼10위 중 6위 대구 남구(45.9%)를 제외하고는 모두 서울지역이었다.
주택소유율은 가구주 연령대가 높을수록,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높았다.
가구주 연령 기준으로 30세 미만의 주택소유율은 11.1%였지만, 70대는 69.1%였다. 다만 80세 이상에서는 57.2%로 떨어졌다.
가구원 수로 주택소유율을 보면 1인 가구는 28.5%로 가장 낮았고, 5인 이상 가구는 74.6%로 제일 높았다.
부부만으로 구성된 가구의 주택소유율은 71.7%, 부부와 미혼자녀 가구는 71.0%로 높았지만 한부모와 미혼자녀 가구의 소유율은 48.3%로 전체 평균에 미치지 못했다.
주택을 보유한 가구 사이에서 비교해봐도 격차는 그다지 나아지지 않았다.
전체 주택 소유 1천100만가구 중 주택을 1건만 소유한 가구는 798만9천가구(72.6%), 2건은 218만2천가구(19.8%), 3건 이상은 82만9천가구(7.5%)로 나타났다.
2건 이상 소유자가 많은 시도지역은 제주(33.7%), 세종(32.2%), 충남(30.9%) 순이었다.
시 지역을 기준으로 보면 서울 강남구(36.4%)와 서초구(35.9%), 제주 서귀포시(34.6%) 순으로 다주택자가 많았다.
주택자산 가액 기준 10분위 현황을 보면 전년보다 격차가 줄기는 했지만 미미한 수준이었다.
작년 상위 10%의 평균 주택자산 가액(올해 1월 1일 기준 공시가격 기준)은 8억1천200만원이었고 하위 10%는 2천500만원이었다.
한편 전년대비 소유주택 총 자산가액이 증가한 사람은 978만7000명이었다. 5000만원 이하가 83.1%(813만400명)로 가장 많았고 3억원 초과는 2%(20만1100명)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