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장형익 기자] BMW차량의 계속되는 화재 사건으로 국민적 불안감이 더하고있는 가운데 정부가 긴급 안전진단을 받지 않은 리콜 대상 BMW 차량에 대해 '운행중지'라는 사상 초유의 고강도 처방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이같은 고강도 '운행중지'처방이 내려질 경우 해당 차주들은 당분간 큰 불편이 예상된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 8일 긴급 브리핑을 열고 "국민 안전을 위해 안전진단을 받지 않은 차량과 안전진단 결과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차량에 대해 운행정지 명령을 발동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같은 정부의 조치가 발표된 가운데 BMW코리아는 화재 위험이 있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 모듈이 장착된 42개 차종 10만6천317대에 대해 20일부터 모듈을 새 부품으로 교체하고 EGR 파이프에 쌓인 침전물을 청소하는 리콜에 나설 예정이나 BMW코리아의 늦어도 너무 늦은 '늑장 대응'이라는 비판이 작지 않다.
BMW코리아는 이에 앞서 예방적 조처로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14일까지 긴급 안전진단을 하고 있으나 일부 점검을 받았던 차량에서도 또다시 문제가 발생하는 등 BMW코리아의 무성의한 리콜에 차량 소유자들은 불안감을 호소하기도 했다.
문제가 돼고 있는 차량들이 '리콜' 이전에 화재사고가 날 경우를 대비해 리콜 대상 차량은 내시경 장비로 단순히 화재 위험성을 진단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또한 부품해체등 실물 확인 없이 단순 육안검사에 지나지 않다는 전문가들의 비판이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