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상위 20% 해외소비 절반 차지…연평균 8.7% 상승

서태영 / 기사승인 : 2018-07-28 20:15:21
  • -
  • +
  • 인쇄
"고소득층 국내 소비 확대되도록 고급상품 개발해야"

2018-07-28 20;13;39.JPG


[데일리매거진=서태영 기자]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해외소비가 전체 가구 해외소비의 절반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회예산정책처의 '우리나라 해외소비 분석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보면 지난 2016년 전체 가구의 해외소비 가운데 5분위가 차지하는 비중은 49.6%였다.


같은 해 5분위 가구의 소득 비중은 38.0%, 소비 지출 비중은 31.2%로 해외 소비 비중보다 10% 이상 낮았다.


해외소비는 국민이 해외에서 쓴 돈을 의미한다. 우리 국민의 해외소비는 꾸준히 증가해 국내 소비 증가 속도보다 빠르다.


해외소비는 지난 2000~2009년 연평균 14.5%, 2010~2017년 연평균 8.7% 상승했다. 같은 기간 국내 소비는 각각 3.6%, 2.1% 증가하는 데 그쳤다.


보고서에서는 "해외소비는 소득수준이 상승함에 따라 해외여행 수요 등이 늘면서 자연스럽게 상승하는 측면이 있다"면서도 "내수 활성화를 위해 국내 관광, 교육산업 등 서비스업 경쟁력 확대로 해외소비를 국내 소비로 전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고소득층의 소비가 국내에서 확대될 수 있도록 고급 상품·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의 국민소득 대비 해외소비지출 비중은 2016년 기준 2.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2.6%보다 낮다. 1인당 평균 해외소비 지출은 한국이 569달러로 국민소득 1,000억달러 이상 주요 54개국 가운데 중위권인 22위였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