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안정미 기자] 저학력자일수록 고용한파가 더욱 심각한 모양새다
특히 고령자 대부분의 초등학교 졸업 이하 계층의 실업률은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21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초등 학교 졸업생의 실업률은 6.7%로 1년 전(5.3%)보다 1.4%포인트 높아졌다.
초졸 이하 실업률이 6%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관련 통계가 집계된 1999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기도 하다.
통상 실업률 상승의 원인 중 하나는 전반적인 경제 활동 인구 증가다. 공무원 시험이 몰린 시기에 실업률이 일시적으로 오르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올해 1분기 경제 활동 참가율은 32.3%로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초졸 이하 계층의 1분기 고용률은 1년 전(31.8%)보다 1.7%포인트 하락한 30.1%로 집계됐다. 역대 최저 수준이다.
중졸의 1분기 실업률은 4.3%로 2010년 1분기(4.9%)이후 가장 높았고 고졸자 실업률은 4.4%로 2016년 1분기(4.6%)이후 가장 높았다.
이번 실업률 악화는 완전 고용 부진의 결과라는 분석도 나온다. 통계청은 저학력자를 중심으로 고용 악화가 저소득층 가구의 소득 감소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음식, 숙박업, 도소매업 등의 여파로 뚜렷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어 이들의 고용 지표가 눈에 띄게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고용 계약 기간은 1개월∼1년인 비정규직 근로자가 2016년 4분기 이후 10만명 이상으로 급감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초등 학교 졸업 인구 구조를 보면 50대 이하 인구가 많지 않다"며 "임시 일용직 고용 사정이 나빠 저학력자 고용 지표에 영향을 끼쳤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