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김태일 기자] 낮은 연봉으로 인해 직장인 절반 이상이 회사에 대한 자부심 이른바 '회사 부심'을 느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잡코리아(대표 윤병준)가 직장인 970명을 대상으로 '회사에 대한 자부심'을 주제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5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직장인 54.4%가 평소 회사부심 없이 일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고, 직장인 38.9%가 '별로 회사부심을 느끼지 못한다"고 답했다. 이어 15.6%는 '전혀 느끼지 못한다'고 응답했다.
‘어느 정도’, ‘매우’ 등 회사부심을 느낀다는 응답을 재직 중인 기업형태별로 살펴 보면 △공기업(62.0%) △대기업(59.4%) △외국계기업(55.0%)의 순으로 높았다. 반면 △중소기업 직장인은 40.6%로 상대적으로 회사부심을 느낀다는 응답이 낮게 나타났다.
직장인들이 회사부심을 느끼는 이유(*복수응답)는 재직 중인 기업의 형태에 따라 달랐다.
먼저 회사부심이 가장 높았던 공기업 직장인들은 ‘워라밸이 보장되는 근무환경’이 응답률 68.2%를 차지, 압도적인 1위에 꼽힌 가운데, ‘내가 하는 일, 우리 회사의 사업이 의미 있는 일이라는 보람’이 47.7%로 2위로 나타났다. 대기업 직장인은 ‘높은 연봉수준(35.3%)’과 ‘일에서 얻는 보람(32.9%)’을 나란히 1, 2위로 꼽았다. 외국계기업은 ‘만족스러운 수준의 복리후생(59.1%), 중소기업은 ‘일의 보람(52.6%)’을 각각 회사부심을 느끼는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반면 회사부심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복수응답)는 대동소이했다. 대기업을 제외한 모든 응답군에서 ‘낮은 연봉수준’을 1위에 꼽는 등 49.6%의 응답률을 얻어 회사부심을 느끼지 못하는 결정적인 이유로 꼽혔다. 대기업 직장인들은 ‘워라밸이 없는 근무환경(41.4%)’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2위는 ‘만족스럽지 못한 복리후생(38.1%)’이, 3위는 ‘워라밸이 없는 근무환경(33.5%)’이 각각 차지했다.
이밖에 ‘수직적이고 폐쇄적인 조직문화(21.8%)’, ‘내가 하는 일, 우리 회사의 사업이 의미가 없는 일처럼 느껴져서(19.3%)’, ‘자기계발을 할 수 없는 근무환경(17.4%)’, ‘낮은 고용안정성(15.3%)’ 등의 이유로 회사부심을 느낄 수 없다는 응답도 이어졌다.
특히 이들 중 '이직하고 싶은 생각이 별로 없다'는 응답은 23.3%로 전혀 회사부심을 느끼지 못한다고 답한 직장인 그룹(2.6%)에 비해 9배나 높아 눈길을 끌었다.
잡코리아는 “회사부심이 개인의 역량발휘와 이직의사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조직관리의 측면에서 직원들의 회사부심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