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김용환 기자] 북한이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 실험장의 폐쇄(폐기)와 이를 공개하기 위한 사전조치를 시작한 징후를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보당국의 한 소식통은 3일 "북한 풍계리 핵 실험장의 3번 갱도에 일부 징후가 포착됐다"며 "남북정상회담에서 풍계리 핵 실험장을 폐쇄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미 군 당국은 핵 실험장 남쪽에서 파낸 3번 갱도에서 수시로 핵 실험을 할 수 있는 기술적인 준비가 갖춰진 것으로 평가해왔다.
또 다른 소식통은 "3번 갱도에서 수거한 케이블(전선)이 철거되고 입구에 작업을 위한 인력과 시설이 모두 식별됐다"며 "구체적인 작업 동향은 밝힐 수는 없지만, 유의미한 변화로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풍계리 핵 실험장에서 핵 시설 폐기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당국은 평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미국 CBS방송은 2일(현지시간) "북한이 폐쇄된 풍계리 핵 실험장의 갱도를 해체하기 시작한 것은 갱도에 대한 첫 조치"라고 보도했다.
소식통은 "3번 갱도에서 케이블(전선)을 해체하고 있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방 위원장은 지난달 27일 판문점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에서 북한의 핵 실험장 폐쇄할때 대외에 공개하자는데 합의했다.
당시 김 위원장은 "5월 중순 북부 핵실험장 폐쇄를 국제 사회에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해 한미 전문가와 언론인들을 초청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아직도 기존 실험 시설보다 더 큰 두개의 갱도가 더 있고 이는 아주 건재하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이 언급한 두 개의 터널은 핵 실험장에서 파낸 4개의 터널 중 3,4호를 가리키는 것으로 당국은 평가하고 있다. 4번 갱도가 북한의 6차 핵 실험 이후 발굴됐는지는 불분명하다.
국방부와 합참은 풍계리 핵 실험장 동향에 대해 "한미가 북한의 동향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최현수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한미 양국이 이 지역을 예의 주시하고 있지만 공식적인 언급은 자제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