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연합뉴스
[데일리매거진=김영훈 기자] 인천 영흥도 앞바다에서 선박 충돌사고로 13명의 승객이 숨지는 참사가 발생했다.
새 정부 들어 발생한 안전사고 중 피해 규모가 가장 크다. 아직까지 '세월호 참사'의 상흔이 아직 채 아물기도 전에 차디찬 선실 속에서 고귀한 생명이 몸부림 속에 희생당하는 일이 또 발생했다.
세월호 참사 이후 해경에 대한 대대적인 쇄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지만 정작 바뀐 것은 대통령 뿐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사고 당시 해경 구조 보트는 사고 접수 33분 만에 현장에 도착했다. 출동지시에 4분, 준비에 13분, 이동에 16분을 사용했다. 상부에 보고하고 지시를 받느라 구조의 골든타임을 놓친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는 해경 전용부두라는 것이 있다. 언제든지 출동할 수 있는 전용부두에는 일반 엇선들의 어항이나 어업전진기지 같은 경우 배들을 해경 전용부두에 계류를 시키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때 출동을 늦게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 해경이 구조에 대해 별다른 인식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경이 고질적인 문제를 갖고 있다는 지적은 계속해서 나오고 있지만 바뀌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해상 사고는 다양한 악조건 속에서 일어나고 직접적으로는 기상 악화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전체적인 원인을 분석해 보면 철저한 안전 대책으로 사고를 피하거나 피해가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번 사건에도 해경의 대응에는 분명히 문제가 있다. 또한 사고는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철저한 안전대책을 세워야 한다. 그것이 해경의 역할이기도 하고, 정부의 역할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