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년, 격동의 시간, 뜨거웠던 사람들 "1987"
한 사람이 죽고, 모든 것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데일리매거진=이상은 기자] 영화 <1987>은 한 젊은이의 죽음이 어떻게 역사의 물줄기를 바꾸는 거대한 흐름으로 확장되었는지, 1987년을 뜨겁게 살아갔던 사람들의 이야기에 주목한다.
기록 속에 박제되기에는 너무나 생생한 사람들의 드라마로 가득 차 있고 오늘의 한국 사회의 주춧돌을 놓은 뿌듯하고 소중한 기억이기 때문이다.
그 지점에서 영화 <1987>은 시작되었다. 졸지에 시신으로 돌아온 스물두 살 아들을 차갑게 얼어붙은 강물 속에 흘려 보내야 했던 한 아버지의 슬픔에서 1987년의 시간은 시작된다.
골리앗같이 강고한 공권력의 상징과도 같은 대공수사처장(김윤석), 화장동의서에 날인을 거부한 검사(하정우), 진실을 보도한 기자(이희준), 막후에서 진실이 알려지는데 기여한 교도관(유해진)과 무모해 보이는 선택을 하는 이들을 숨죽이며 지켜보던 평범한 대학생(김태리), 이밖에 박처장의 명령을 받들다 더 큰 목적을 위해 수감되는 대공형사(박희순) 등 각자 다른 위치에서 부딪히고 맞물리며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드라마틱했던 격동의 6월로 완성된다.
▲사진, 영상=영화 '1987' [출처/CJ엔터테인먼트]
<1987>은 실재했던 이들의 드라마가 가진 생생함에 덧붙여 그들이 겪었을 법한 사건과 감정의 파고를 손에 잡힐 듯 따라가며, 그들 중 한 명이라도 다른 선택을 했다면 6월 광장의 시간은 불가능했을 수 있다는 걸 보여준다.
또한 숨죽였던 이들의 용기가 지닌 가치를 드라마틱하게 묘사하며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묵직한 울림을 전한다.
역사의 주역은 위인들만은 아니다. 가장 큰 변화는 다수의 의지가 모일 때 비로소 가능해진다.
한국 현대사는 유독 그런 순간들이 많았고 민주주의의 시계를 다시 돌아가기 시작하게 만든 1987년은 우리 모두가 주인공이었던 시간이었다. 영화 <1987>에 출연한 배우들 역시 분량의 많고 적음을 떠나 1987년 시간의 톱니바퀴 속에서 각자의 역할을 해내며 릴레이로 주인공을 맡아 매 순간 인상적인 연기를 펼쳤다.
그들이 연기한 단 한 명의 인물이라도 다른 선택을 했더라면 그 해의 6월은 다르게 흘러갔을 것이다. 인물의 선택 사이, 행간에 놓인 감정의 변화까지 따라가는 영화 <1987>에서 인물 하나하나를 연기한 배우들의 면면은 영화 <1987>을 주목하게 만드는 가장 큰 이유다.
▲사진, 영상=영화 '1987' [출처/CJ엔터테인먼트]
<추격자>와 <황해>로 강하게 격돌하며 한국영화사상 가장 인상적인 투톱 연기를 선보였던 김윤석과 하정우는 사건 은폐를 지시하는 대공수사처장과 이에 맞서 부검명령서를 발부하는 검사로 재회해 극 초반의 에너지를 책임진다.
그리고 일명 ‘비둘기’로 불렸던 재야인사의 옥중서신을 바깥으로 전달하는, 실존 인물에 기초해 그려진 양심적인 교도관 한병용 역은 인간미의 대명사 유해진이 맡아 연기한다.
그의 조카로 삼촌이 위험에 처할까 걱정하고 대학 입학 후 동료 학생들의 시위를 보며 갈등하는 87학번 신입생 연희 역에는 강한 의지와 당찬 면모를 동시에 갖춘 김태리가 출연한다.
박처장의 명령을 받들다 수감되는 대공형사 조반장은 박희순이, 서슬 퍼런 보도지침에 맞서 진실을 알리려는 노력을 멈추지 않는 기자 역에는 이희준이 출연해 사슬처럼 맞물려 이어지는 그 해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완성한다.
영화 <1987>에서 스타성과 연기력을 겸비한 배우들이 기꺼이 뜻을 모아 만들어낸 그때 그 사람들의 진심은 재미와 감동 속에 관객들을 그 시간의 한가운데로 데려간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