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또다시 동해로 지대함 순항미사일 수발 발사

김용환 / 기사승인 : 2017-06-08 12:03:27
  • -
  • +
  • 인쇄
북한, 日위협 "美보다 먼저 초토화될 수 있다…도박 마라"

1.jpg
▲사진=조선중앙TV유튜브

[데일리매거진=김용환 기자] 문재인 정부 취임 30일째를 맞이 한 8일 북한이 동해로 지대함 순항미사일로 추정되는 미사일 수발을 발사했다.

이날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강행하면서 문재인 대통령도 수석보좌관회의에서 긴급 안건으로 다뤄 북한 도발의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청와대는 이날 오전 대통령 주재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북한 미사일 도발과 관련한 긴급 논의에 들어갔다.

문 대통령은 이날 대수보 회의에서 북한 미사일과 관련한 보고를 받았다. 원래 이날 회의엔 예정에 없던 안건이었으나, 이날 아침 북한이 미사일 도발을 강행하면서 대수보 회의에서도 긴급하게 현안 보고 및 대책 마련이 이뤄졌다.
새 정부의 각종 평가도 북한 미사일 도발에 가릴 형국이다.

취임 후 한 달 동안 북한은 총 4차례 미사일 발사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현장에 직접 참관해 지대공미사일을 시험발사한 사례까지 포함하면 5차례 미사일 도발을 강행했다. 이는 일주일 간격으로 북한은 미사일 도발을 강행한 것이다.

최근 사드 배치 절차 등을 두고 한미간에 논란이 불거진 와중에 북한까지 추가 도발을 강행하면서 청와대도 한층 난감한 상황이다.

국내에선 사드 배치 지역의 환경영향평가 재검토가 진행되고, 미국에선 제임스 시링 미국 국방부 미사일방어청장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미국에 도달한다고 봐야 한다”고 밝히는 등 사드 배치를 둘러싼 국내외 정세가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다.

정부는 연이은 안보 이슈가 불거지면서 새 정부의 사드 정책이나 대북 정책을 두고 야권의 압박도 한층 거세질 전망이다.

통상 정치권에서‘한 달 맞이’는 초반 성과와 리더십을 집중 조명하는 시기로 분류된다. 이날 새 정부는‘북한 미사일’한미정상회담을 목전에 둔 시기이기에 더 민감하다.

이와 관련해 북한학과 고유환 동국대 교수는“북한이 문재인 정부가 아닌 미국을 겨냥해 도발을 강행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새 정부의 의지와 달리 북한의 연이은 도발 속내엔 한국이 아닌 미국을 협상 대상으로 삼고 있다는 의미로 대북 정책의 주도권을 쥐려는 것으로 문재인 정부 앞으로의 대북한 정책이 주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북한은 8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를 비롯한 일본 고위 당국자들이 최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한 것을 비난하며 미국보다 먼저 일본이 초토화될 수 있다고 위협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핫이슈 기사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