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는 6월 3일 그동안 59일 동안 뜨거웠던 선거 운동이 마무리 되고 이제 몇시간 뒤면 국민들은 자신의 손으로 대통령을 선택하는 시간이 다가온다.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치러지는 이번 선거에는 단순히 권력의 향방을 가르는 일이 아니다. 그것은 국민의 삶과 국가의 미래를 결정짓는 순간이다. 한 사람의 리더십이 국가의 흥망성쇠를 가른 사례는 역사 속에서 숱하게 반복돼왔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사람을 대통령으로 뽑아야 하는가? 국가를 대표할 대통령에게 반드시 요구되는 몇가지 덕목과 조건을 구체적 사례와 함께 살펴본다.
대통령은 단순한 행정가가 아니다. 국민을 하나로 이끌며, 국가의 미래를 설계하고 실현하는 리더다. 박정희 대통령은 산업화를 이끌어낸 지도자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시대는 변했고, 지금은 기후위기, 저출산, 디지털 전환, 글로벌 경제위기라는 복합과제에 직면해 있다. 예컨대 독일의 메르켈 총리는 탈원전과 친환경 에너지 전환 정책으로 국가의 비전을 제시하며 유럽을 선도했다. 우리 대통령도 이처럼 대한민국의 미래를 설계하고 국민을 설득할 수 있는 국가적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국민이 대통령을 신뢰하려면 공감의 리더십이 필수다. 코로나19 위기 당시, 뉴질랜드의 아던 총리는 재난 상황에서도 국민의 눈높이에 맞춘 소통으로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반면 일부 지도자들은 국민의 목소리를 외면한 채 독선적인 정책을 밀어붙이다가 국민의 분노를 샀다. 대통령은 청와대가 아닌 국민의 삶 속으로 들어가야 한다. 민생 현장을 찾아 소상공인의 어려움에 귀 기울이고, 청년의 목소리에 공감하며 정책을 고민하는 대통령이 필요하다.
대통령의 도덕성과 청렴성은 국가의 근간이다. 전직 대통령이 모두 사법 처리로 불명예를 안은 것은 국민의 상처로 남았다. 도덕성과 청렴성이 무너지면 국가 리더십은 국민의 신뢰를 잃고 분열을 초래한다. 핀란드는 ‘세계에서 가장 청렴한 나라’로 꼽히는데, 대통령을 비롯한 고위공직자의 투명한 행정과 높은 윤리의식 덕분이다. 우리도 대통령 후보의 도덕성과 청렴성을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
대통령의 자리는 위기에서 더욱 빛난다. IMF 외환위기 당시 우리의 대통령은 과감한 구조조정과 외자 유치로 경제 회생의 길을 열었다. 반면, 세월호 참사 당시 정부의 미흡한 초기 대응은 국민에게 큰 상처를 남겼다. 국가적 위기의 순간, 대통령의 결단력과 책임감이 국민의 생명과 국가의 존립을 지킨다.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는 사람인지, 우유부단하게 책임을 미루는 사람인지를 반드시 따져봐야 한다.
대한민국은 지역, 세대, 이념의 갈등이 날로 심화되고 있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은 “사람 사는 세상”을 외치며 사회통합의 메시지를 던졌다. 그러나 일부 정권은 정치적 유불리에 따라 국민을 편 가르고 분열을 부추겼다. 대통령은 특정 집단의 대표가 아니라 국민 전체의 대통령이어야 한다. 다양한 목소리를 포용하며 국민 대화의 장을 열고,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통합의 리더십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대통령 한 사람의 선택이 대한민국의 향방을 가른다. 우리는 공약의 달콤함이나 이미지 정치에 흔들리지 말고, 국가를 책임질 진정한 지도자의 자질을 꼼꼼히 살펴야 한다.
국가 비전, 공감능력, 도덕성, 위기관리, 통합의 리더십이 다섯 가지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여는 열쇠다. 국민의 선택이 곧 국가의 미래라는 사실을 우리는 무겁게 받아들이고 잊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