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통의동 집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제공/연합뉴스] |
당초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집무를 시작하려던 계획이 청와대의 제동으로 사실상 무산되자, 서초동 자택에서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까지 이동하는 현재의 동선을 당분간 이어가기로 했다는 것이다.
임기 첫날부터 청와대에 들어가지 않겠다는 윤 당선인의 입장은 확고하지만, 그렇다고 곧바로 용산 집무실이 마련되기 어려운 현실을 고려한 조치인 셈이다.
윤 당선인 측 핵심 관계자는 23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통의동과 서초동 출퇴근은 배수진을 친다는 의미의 정치적 레토릭이 아니다"라며 "청와대에 한 발자국도 들어가지 않겠다는 것으로 결정된 사안"이라고 말했다.
윤 당선인은 주변 참모들에게 "여기(통의동) 침대 하나 깔아주시면 제가 여기서 잘게요. 여기서 일하면 되지 않겠습니까"라고도 말했다고 한다.
결국 서초동 자택에서 출퇴근하기로 결정한 데는 윤 당선인의 의지가 강하게 담겼다.
한때 자택 출퇴근과 함께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에서 임시로 머물거나, 청와대 부근 안가 등에 임시 관저를 마련하는 등 방안도 거론됐지만, 결국 자택에서 출퇴근하는 쪽으로 정리된 것으로 알려졌다.
용산 집무실에 맞춰 관저로 유력하게 거론돼 온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 역시 사실상 비어있긴 하지만 리모델링 등에 시간과 비용이 든다. 이 때문에 예비비 승인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윤 당선인이 한남동 공관으로 당장 입주할 가능성은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윤 당선인은 주변 참모들에게 "여기(통의동) 침대 하나 깔아주시면 제가 여기서 잘게요. 여기서 일하면 되지 않겠습니까"라고도 말했다고 한다.
결국 서초동 자택에서 출퇴근하기로 결정한 데는 윤 당선인의 의지가 강하게 담겼다.
한때 자택 출퇴근과 함께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에서 임시로 머물거나, 청와대 부근 안가 등에 임시 관저를 마련하는 등 방안도 거론됐지만, 결국 자택에서 출퇴근하는 쪽으로 정리된 것으로 알려졌다.
용산 집무실에 맞춰 관저로 유력하게 거론돼 온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 역시 사실상 비어있긴 하지만 리모델링 등에 시간과 비용이 든다. 이 때문에 예비비 승인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윤 당선인이 한남동 공관으로 당장 입주할 가능성은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윤 당선인의 서초동 자택에는 방탄유리 설치 등 별도의 방어 조치를 하지 않을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평범한 국민들의 생활에 방해되지 않도록 경호 요원도 보이지 않게 배치한다.
윤 당선인 측 관계자는 "서초동 자택에서 재임 기간 내내 머무는 것이 아니어서, 예산을 들여 방탄유리를 깔지 않을 것"이라며 "경호도 '보이지 않는' 요원들 배치를 늘려 당선인 안전은 확보하되 주민들께 불편을 드리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통의동 집무실 주변엔 경호 인력을 늘려 당선인의 안전을 확보할 방침이다.
통인동 집무실 인근에서 경호를 위한 전파 차단은 외국 귀빈 방문 등 행사가 있을 때만 일시적으로 이뤄질 예정으로 통인동 집무 기간에 외국 정상 등이 입국하게 되면 기존의 청와대 영빈관에서 맞을 계획인것으로 알려졌다. 당선인 측은 청와대 위기관리센터도 당분간 그대로 사용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