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국회 기획재정위원회) |
유튜버 상위 1% 고수입자 27명이 연간 벌어들인 수입은 총 181억2천5백만원으로 나타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9년 귀속 1인미디어 창작자(유튜버 등) 수입금액 백분위’ 자료에 따르면 상위 1% 고수입자 27명이 연간 벌어들인 수입은 총 181억2천5백만원으로 이들의 평균 수입액은 6억7천1백만원으로 이는 전체 수입액(875억1천1백만원)의 21%에 달하는 수치이다.
양경숙 의원실이 제출받은 ‘수입’ 백분위 자료는 필요경비를 차감하기 전 단계인 모든 금액의 합산액이다. ‘소득’은 필요경비를 차감한 이후의 금액을 말한다.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비대면·언택트 바람이 불면서 유튜버와 같은 소셜미디어 등을 활용한 수입창출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과거 ‘유튜버’는 기타 자영업자로 분류되어 정확한 수입을 파악할 수 없었다. 이에 국세청은 2019년 9월‘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즉 유튜버, BJ 등 인터넷·모바일 기반 미디어 플랫폼 환경에서 영상콘텐츠를 제작해 수입을 올리는 신종 업종에 대한 코드를 신설했다.
양경숙 의원실에서 제출받은 ‘2019년 1인 미디어 창작자 업종코드 수입금액 현황’ 자료에 따르면, 신고된 1인미디어 창작자(유튜버 등) 인원은 총 2,776명으로 수입금액은 연간 875억1천1백만원으로 나타났다. 이어 2019년 신고된 인원 1인당 평균 3억1천5백만원의 수입을 올린 것으로 밝혀졌다.
2019년 상위10%(277명)가 얻은 수입금액은 총 598억8천6백만원에 달했으며, 1인당 평균 수입액은 2억1천6백만원으로 전체 수입액의 68.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하위 50%(1,388명)의 총 수입은 15억원으로 1인당 평균 108만원 가량의 수입을 얻었다.
![]() |
▲ 2019년 1인 미디어 창작자 업종코드 백분위 자료 [제공/양경숙 의원실]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