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산업생산 1.2% 증가…자동차 생산 증가율 50개월 만에 가장 높아

정민수 기자 / 기사승인 : 2024-09-30 17:15:43
  • -
  • +
  • 인쇄
-반도체 중심으로 제조업이 좋은 상황이고 서비스업도 견조한 상승세
▲ 사진=통계청 공미숙 경제동향통계심의관 [제공/연합뉴스]

 

산업생산이 자동차 및 반도체 생산 증가에 힘입어 4개월 만에 반등했다.

들쭉날쭉한 흐름을 보이며 큰 폭으로 감소했던 소매 판매도 18개월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8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全)산업 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3.7(2020년=100)로 전월보다 1.2% 증가했다.

4월 1.4% 증가했던 전산업생산은 5월(-0.8%)과 6월(-0.1%), 7월(-0.6%) 연이어 감소한 후 4개월 만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했다.

부문별로 보면 광공업 생산이 4.1% 늘면서 전체 산업 생산 증가를 견인했다. 2023년 8월 5.4% 증가한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품목별로 보면 통신·방송장비(-7.1%)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자동차(22.7%), 반도체(6.0%)의 선전이 두드러졌다.

특히 자동차 생산 증가율은 2020년 6월(23.9%) 이후 50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제조업 출하는 전자부품, 의료 정밀 광학 등에서 줄었으나 자동차, 석유정제 등에서 늘어 전월 대비 5.7% 증가했다.

재고는 통신·방송장비, 전자부품 등에서 늘면서 전월보다 1.4% 늘었다.

재고보다 출하가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재고율은 4.6%포인트(p) 하락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보다 0.2% 늘면서 3개월 연속 증가 흐름이 이어졌다.

특히 내수와 밀접한 항목인 숙박·음식점(4.4%)과 도소매업(3.0%)에서 뚜렷한 증가세가 나타났다.

8월 휴가철 효과와 외국인 관광객 유입 증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반도체 중심으로 제조업이 좋은 상황이고 서비스업도 견조한 상승세"라며 "지난달 자동차 등 생산이 감소했던 기저효과가 더해지면서 큰 폭의 생산 증가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