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국민의힘 CI |
김문수 후보는 국민의힘이 공표한 절차에 따라 후보 등록을 하고, 경선을 거쳐 정식으로 선출된 대선 후보이다. 그러나 선출 직후부터 당내 유력 인사들이 앞다퉈 “단일화”를 외치며 무소속 유력 후보와의 합류를 기정사실화하는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이는 후보에 대한 예우는 물론, 정당 민주주의에 대한 근본적 부정을 의미한다.
당이 주도한 경선을 통해 선출된 후보가 하루도 지나지 않아 내부적으로 무력화되는 모습은 참담하다. 이 당은 도대체 무엇을 위해 경선을 치렀고, 누구를 위해 후보를 세웠던가. 경선이라는 정당정치의 핵심 과정을 스스로 희화화한 결과, 국민의힘은 지금 '국민의힘'이 아닌 '국민의배신'이란 조롱을 자초하고 있다.
급기야 김문수 후보는 지난 6일, 후보 일정을 전면 중단했다. 경선 후보로서가 아니라, 인간 김문수의 마지막 자존심이 작동한 결과다. 이는 단지 개인적 반발이 아니라, 정치의 최소한의 도리와 상식을 기대했던 지지층 전체에 대한 모욕이자, 당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일이다.
이 같은 사태를 두고, 당내 다른 유력 인사들조차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대선후보 4강에 올랐던 안철수 의원은 “대선 후보 자리를 쉽게 양보할 생각이었다면, 애초에 경선을 치를 이유가 없었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또한 “이재명을 막기 위한 단일화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시기·방식·절차를 전략적으로 고민해야 한다”며 단일화의 당위와 절차의 정당성이 별개임을 강조했다.
![]() |
▲ 사지=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6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장인 경북 경주시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후보 일정을 중단하고 서울로 올라가 현안 문제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뒤 취재진에 둘러싸여 있다. |
지금 국민의힘이 보여주는 모습은 체제 수호의 기치를 내건 정당이 내부의 체제조차 지키지 못하는 어처구니없는 모순이다. 무소속 후보와의 단일화를 말하기 전에, 먼저 자신이 세운 후보를 정당하게 인정하고, 지지하는 것이 순서다. 그 기본을 무시한 단일화는 ‘승리를 위한 전략’이 아니라, 패배를 부르는 무질서로 끝날 수밖에 없다.
정당은 사람 위에 있지 않다. 그러나 지금의 국민의힘은 절차 위에 특정인을 두려 하고, 경선 결과보다 내부 정치적 유불리에 흔들리고 있다. 이는 정당의 존립 근거를 스스로 부정하는 길이다. 보수의 가치는 의리와 원칙, 질서다. 후보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해서 그를 배제하는 행동은 보수가 결코 자랑할 수 없는 추태일 뿐이다.
국민은 지금 국민의힘에 묻고 있다. 체제 수호를 말하면서 자당의 절차 하나 지키지 못하는 정당에게 과연 나라의 미래를 맡길 수 있는가. 정당이 자초한 혼란이 더 깊어지기 전에, 국민의힘은 ‘의리’와 ‘책임’이라는 고전적 가치를 다시 붙잡아야 한다. 지금처럼 후보를 지우는 정당이라면, 스스로 그 이름을 ‘국민의힘’이 아닌 ‘국민의배신’으로 바꾸는 것이 옳지 않겠는가.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