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국민의힘 김승수 의원(대구북구) |
저작권 침해 피해 규모가 매년 급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저작권 보호 대응이 미흡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민의힘 김승수 의원(대구북구)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2021 웹툰 사업체 실태조사’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1년 웹툰 불법유통 피해 추산 규모는 8,427억원으로, 합법시장 규모(1조 5,660억원) 대비 침해율이 54%에 육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보면, 불법유통 피해규모는 2019년 3,183억원에서 2020년 5,488억원, 2021년 8,427억원으로 2년새 2.6배 가량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합법시장 침해율 역시 2019년 49.7%에서, 2020년 52.1%, 2021년 53.81%로 높아지고 있어, 웹툰 창‧제작자 및 유통업계에 매년 막대한 손실이 발생되고 있다.
해당 조사 결과는 국내에 한정된 것으로, 우리나라 웹툰이 해외에서 상당한 인기를 얻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실제 불법유통 피해규모는 더욱 클 것이라는 것이 김승수 의원의 주장이다.
저작권 침해 위법행위가 증가하고 일상화되고 있는 반면, 이에 대한 정부의 대응 및 관련 범죄 수사는 여전히 미진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경찰청의 2021 범죄통계 자료 및 문체부 제출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저작권 침해로 검거된 건수는 3,545건으로 전체 범죄 1,136,826건의 0.3%, 절도 범죄 104,013건의 3%에 불과했으며, 해외에서 검거된 사례는 2건에 그쳤다.
![]() |
▲ 최근 3년간 불법유통 피해 규모 현황 [제공/김승수 의원실]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