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국민의힘 송언석 의원(경북 김천) |
2015년 이후 보험회사가 지급한 드론사고 보험금 지급건수는 704건인데 반해 국토부가 파악하고 있는 사고건수는 11건에 불과하여, 양측이 파악하고 있는 드론사고 건수가 64배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송언석 의원(경북 김천)이 국토교통부와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2015년 이후 발생한 드론사고는 총 11건으로 2015년 1건, 2017년 4건, 2018년과 2019년에 각 3건이 발생했다.
그러나, 금감원이 제출한 자료의 수치는 완전 달랐다. 같은 기간 드론사고 발생에 따른 보험금 지급건수가 704건, 보험금 지급금액은 무려 66억6천만원에 달했던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사고발생 건수만 보더라도 국토부 제출 자료와 64배의 차이가 난다.
![]() |
▲ 국토부가 파악하고 있는 드론사고 현황(2015년 이후) [제공/송언석 의원실] |
하지만, 현재 국토부 각 지방항공청에서 드론 안전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인력은 총 7명뿐이며, 더욱이 이들은 드론 외 여타 안전감독 업무까지 병행하고 있어 체계적 안전관리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드론은 농업용과 군용, 레져 및 방송·컨텐츠 등에서의 활용을 넘어 초고층 빌딩 화재진압, 택배 배송 등으로 영역을 넓히며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드론 관련 보험 계약이 역시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2011년 이후 2만1,131건의 보험가입이 이루어졌다.
![]() |
▲ 드론관련 보험 가입 및 보험금 지급 현황(금감원) [제공/송언석 의원실] |
한편, 송 의원은 드론 시장의 성장 및 조종자격 취득자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국토교통부 지방항공청에서 수행하는 드론 사용사업체 안전관리 업무의 전담인력 부족으로 업체 정기점검 및 데이터 기반 사고예방 체계 마련에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하고, 관련 개정안을 발의하여 9월16일 국회 국토위를 통과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