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제공/중소벤처기업부] |
정부가 향후 5년간 원전 중소기업의 연구개발(R&D) 및 자금 지원을 위해 6천750억원을 투입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원전 중소기업 중장기 경쟁력 강화방안'을 4일 발표했다.
지난해 6월 중기부가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발표한 원전지원 정책의 후속조치다.
중기부는 먼저 향후 5년간 '원전 중소기업 특화 기술개발 로드맵'에 따라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원전 중소기업 기술혁신 연구반이 6개월에 걸쳐 수립한 로드맵은 원전 생애주기에 따라 4개 분야, 40개 중점 지원 품목, 180개 핵심기술로 구성됐다.
설계 단계에서는 내진 성능 향상 등 설계 안전성을 높이고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중소기업 유망분야를 발굴한다.
제작·건설 단계에서는 3D프린팅, 레이저빔 용접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공정 효율화와 탄소나노소재 등 고기능 소재 부품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운영·유지보수 단계에서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안전성 강화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해체 단계에서는 고리1호기 해체가 예정된 만큼 현장 수요기술을 확보하고 창업·벤처기업을 육성한다.
디지털 원전 10대 플래그십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40개 중점 지원 품목 중 10개 품목을 선별해 디지털 전환을 선도할 원전 강소기업을 발굴·육성한다.
중소기업, IT기업, 수요기업, 대학 등 다자간 협업방식의 공동개발 과제를 기획하고 민간투자 연계 등 전용 사업을 마련한다.
중기부는 원전 중소기업의 스케일업(성장)을 위해 앞으로 5년간 ▲ 정책자금 2천500억원 ▲ 저금리 융자 2천억원 ▲ R&D 1천500억원 ▲ 경쟁력 펀드 250억원 ▲ 기술보증 500억원 등 6천750억원을 투입한다.
앞서 중기부는 원전 중소기업의 금융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해 500억원의 정책자금을 지원한 바 있다.
![]() |
▲ [제공/중소벤처기업부]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