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소득 5분위별 가계수지(2021. 2/4) [제공/통계청] |
통계청은 상위 20%와 하위 20% 간 소득 격차로 보는 분배 지표의 악화 등을 담은 2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서 다소나마 벗어나면서 경기 회복 분위기가 완연했던 2분기 중 소득 상위 20%만 월평균 소득이 늘었다.
상위 20%의 월평균 소득은 924만1천원으로 1년 전보다 1.4% 증가했다.
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이 96만6천원으로 6.3%, 20~40% 가구가 236만5천원으로 0.9%, 40~60% 가구가 366만1천으로 0.7%, 60~80% 가구가 519만2천원으로 3.1%씩 감소한 것과 대조된다. 전체 가구의 월평균 소득도 431만5천원으로 0.7% 감소했다.
통계청 정동명 사회통계국장은 "지난해 5월에 가구당 최대 100만원을 지급했던 전국민 재난지원금이 기저효과로 작용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올해는 같은 시점에 전 국민 지원금을 지급하지 않다 보니 공적이전소득이 크게 줄어드는데 이때 줄어든 소득이 저소득 가구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면서 나타난 현상이라는 것이다.
근로·사업소득 등 시장소득 기준으로 보면 2분기는 저소득층에도 괜찮은 시기였다.
소득 하위 20%의 근로소득은 2분기 중 19.6%, 사업소득은 16.1%나 늘었다. 상위 20%의 근로소득은 4.8%, 사업소득이 1.3% 늘어난 것과 대조된다.
차이를 만들어낸 것은 공적이전소득이다.
하위 20%의 경우 재난지원금 효과가 사라지면서 공적이전소득이 22.5%나 줄었다.
이들 계층은 근로·사업소득보다 공적이전소득이 크다 보니 공적이전소득이 크게 줄면 근로·사업소득이 늘어도 전체 소득이 줄어드는 상황이 연출된다.
하위 20% 가구의 공적이전소득이 전체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6.4%에 달하는데 비해 상위 20%는 4.6%밖에 되지 않는다. 지원금 효과가 사라질 때 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이 더 큰 타격을 받는 이유다.
이런 영향을 받아 2분기에는 상위 20%의 지출 증가율이 8.2%로 하위 20%의 6.0%를 앞질렀다.
처분가능소득은 하위 20%가 81만2천원으로 7.2% 감소하는 동안 상위 20%는 722만2천원으로 0.5% 줄어드는데 그쳤다.
하위 20%는 월평균 34만1천원의 적자를 낸 반면 상위 20%는 278만7천원의 흑자를 냈다.
재난지원금 효과가 사라지면서 분배는 더 악화됐다.
![]() |
▲ 분기별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1인이상 가구) [제공/통계청]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