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2021 강동 취업박람회 [제공/연합뉴스] |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14일 "경제고통지수를 재구성해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를 산출한 결과 올해 상반기 기준 청년 체감경제고통지수가 2015년 집계 이후 최고치로 치솟았다"고 밝혔다.
경제고통지수는 특정 시점의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더해 국민의 경제적 삶의 질을 측정하는 지표다.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는 연령대별 체감실업률에 연령대별 물가상승률을 더해 산출한다.
한경연에 따르면 연령별 체감경제고통지수는 청년층(15∼29세)이 27.2로 가장 높았고 이어 60대 18.8, 50대 14.0, 30대 13.6, 40대 11.5 등의 순이었다.
원인은 고용 한파였다. 청년 체감실업률은 올해 상반기 25.4%로 30대(11.7%)의 2.2배, 40대(9.8%)의 2.6배였다.
2015년 21.9%에서 2019년 22.9%로 4년간 1.0%포인트(p) 올랐으나 그 후 2년 반 만에 2.5%p나 더 상승했다.
![]() |
▲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 추이 [제공/한국경제연구원]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