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2년 전보다 전세값이 하락한 수도권 아파트 가구 비중 [제공/부동산R114] |
수도권 아파트 시장에서도 소규모 구축 단지 위주로 전세 시세가 계약 당시보다 하락하는 '역전세난' 우려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부동산R114가 이달 기준 수도권 아파트 278만4천30가구의 전셋값(시세)을 2년 전과 비교한 결과 가격이 내려간 가구 비중은 전체의 2.8%(7만8천412가구)로 조사됐다.
지역 별로는 인천이 36만7천936가구 중 2만2천192가구(6.0%)의 아파트 전세가가 2년 전보다 하락했고, 경기는 2.5%(139만253가구 중 3만4천292가구), 서울 2.1%(102만5천841가구 중 2만1천928가구) 순으로 집계됐다.
2020년에 비해 전세가가 떨어진 수도권 아파트 연식을 보면, 30년 초과가 33.5%(2만6천248가구)로 가장 많았고, 21∼30년 이하 31.3%(2만4천534가구), 11∼20년 이하 23.2%(1만8천198가구), 5년 이하 7.8%(6천100가구), 6∼10년 이하 4.2%(3천332가구) 순으로 조사됐다.
단지 규모별로는 300가구 미만의 소단지 비중이 39.4%(3만892가구)로 가장 높았고, 1천500가구 이상 19.4%(1만5천212가구), 300∼500가구 미만 17.8%(1만3천972가구), 500∼700가구 미만 11.9%(9천340가구), 700∼1천가구 미만 8.0%(6천235가구), 1천∼1천500가구 미만 3.5%(2천761가구)가 뒤를 이었다.
300가구 미만은 커뮤니티 등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1천500가구 이상 대규모 단지는 월세 전환과 갱신권 사용으로 전세 수요가 줄고 매물이 쌓이면서 가격이 하향 조정된 것으로 부동산R114는 분석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