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취업박람회 [제공/연합뉴스] |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2020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전국 대학과 일반대학원의 2019년 8월·2020년 2월 졸업자 55만3천521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에서는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취업·진학 여부와 급여 수준, 취업 준비기간 등이 파악됐다.
조사 대상 중 취업자는 31만2천430명으로 취업대상자인 48만149명의 65.1%였다.
이는 2011년 이 조사가 시작된 이후 최저치이며 전년의 67.1%보다 2.0%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첫 취업률 조사로, 코로나19 영향을 크게 받아 하락 폭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분야별 취업자 수를 보면 건강보험 직장가입자가 28만4천359명, 해외취업자가 1천131명, 1인 창업·사업자가 5천317명, 프리랜서가 1만8천139명이었다.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와 프리랜서 비율은 전년보다 각각 0.6%포인트, 0.1%포인트 상승했지만, 해외취업자와 1인 창업·사업자는 각각 0.5%포인트, 0.2%포인트 하락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해 해외 취업이 쉽지 않았고 1인 창·사업을 위해서는 경기가 안정돼야 하는데 그렇지 못해서 창업이 저하된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학제별 취업률을 보면 일반대학원이 80.2%로 가장 높았고 일반대학은 61.0%로 가장 낮았다.
전년과 비교하면 일반대학원을 제외하고 전문대학(-2.2%P), 대학(-2.3%P), 교육대학(-2.4%P), 산업대학(-1.0%P), 각종학교(-1.1%P), 기능대학(-1.2%P) 등 모든 학제에서 취업률이 떨어졌다.
계열별로는 의약계열(82.1%)과 공학계열(67.7%) 취업률이 전체 취업률보다 높았지만, 인문계열(53.5%), 사회계열(60.9%), 교육계열(62.1%), 자연계열(62.3%), 예체능계열(62.2%)의 취업률은 더 낮았다.
전년보다 모든 계열의 취업률이 하락했지만, 인문계열(-2.7%P), 사회계열(-2.5%P), 예체능계열(-2.3%P), 공학계열(-2.2%P)은 변동 폭이 2% 포인트 이상으로 특히 컸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취업률 차이도 벌어졌다.
수도권 고등교육기관 졸업자의 취업률은 66.8%로 비수도권 취업률인 63.9%보다 2.9%포인트 높았다. 전년 두 지역의 차이인 2.7%포인트보다 격차가 더 벌어진 것이다.
수도권 지역과 비수도권 지역의 취업률 차이는 2017년 2.1%포인트, 2018년 2.2%포인트 등으로 매년 커지고 있다.
시도별로 보면 17개 시도 중에서 서울(67.3%), 인천(67.3%), 대전(67.3%), 울산(66.8%), 경기(66.0%), 충남(65.7%), 전남(67.4%)은 전체 취업률보다 높았다.
![]() |
▲ '2020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결과' [제공/교육부]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