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국민의힘 이주환 의원(부산 연제구) |
정부에서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교육을 지원하고 있지만 창업자 8명 중 1명은 폐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주환 의원(부산 연제구)이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제출받은 ‘신사업창업사관학교 휴폐업 현황’자료에 따르면 최근 4년간 1,169명이 신사업창업사관학교를 졸업, 이 가운데 802명(75.5%)이 실제 창업을 했지만 102명은 폐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휴폐업자 102명 가운데 68명(66.77%)은 코로나19여파에 따라 작년과 올해 폐업이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도매‧소매업(375명), 제조업(130명), 숙박 및 음식점업(110명) 등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숙박 및 음식점업 창업이 23.8%로 도매 및 소매업에 이어 비중이 높았지만 코로나19 여파가 불어닥친 2020년부터는 단 한 명도 창업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
▲ 신사업창업사관학교 지원 현황 [제공/이주환 의원실] |
신사업창업사관학교는 소상공인 폐업률 증가에 따른 예비 창업자의 창업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중기부가 지난 2015년 시작한 사업으로 매 기수마다(1년 2기 운영) 이론교육과 점포체험실습 등 총 5개월에 걸쳐 운영되는 창업전문 교육과정이며, 창업자에게는 사업화자금(최대 2천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최근 4년간 졸업자 1,169명 가운데 883명이 총 168억5,700만원의 지원금을 받았다.
문제는 정부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폐업률이 여전히 높다는 점이다.
2015년 창업자 기준으로 신사업창업사관학교 졸업생의 영업유지율(5년 이상 유지)은 도매 및 소매업 57.5%, 숙박 및 음식점업 37.9%, 제조업 46.7% 등으로 조사됐다.
이는 통계청의 ‘기업생멸행정통계’에 따른 기업의 5년 생존율(도·소매업 27.9%, 숙박 및 음식점업 20.5%, 제조업 41.2%)보다 5~30%p가량 높은 수준이기는 하지만 혈세가 투입되는 사업인 만큼 폐업률을 더욱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 |
▲ 신사업창업사관학교 휴폐업 현황 [제공/이주환 의원실]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