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우크라이나 사태 군사적 충돌시 비상대응 TF 가동

정민수 기자 / 기사승인 : 2022-02-15 12:49:57
  • -
  • +
  • 인쇄
다양한 경로 통해 우리 경제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 우려
주요 지표 동향과 대응조치 상황을 일 단위로 점검할 예정
▲ 사진=이억원 기획재정부 차관,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차 우크라이나 사태 비상 대응 TF 회의' 주재 [제공/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사태 발생 즉시 정부는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를 열어 신속 대응하고, 우크라이나 비상대응 TF를 중심으로 주요 지표 동향과 대응조치 상황을 일 단위로 점검할 예정이다.

정부는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 주재로 제3차 우크라이나 사태 비상대응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기재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외교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금융위원회 등 부처는 이 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사태 상황을 점검하고 14일 대통령 주재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 결과에 대한 후속조치를 논의했다.

정부는 정세 불안이 더욱 심화할 경우 원자재 등 공급망 차질, 실물경제 회복세 제약,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우리 경제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 사진=우크러시아와 서방국들 간 군사적 긴장이 고조, 폴란드 공항 도착한 미 공수부대원들 [제공/연합뉴스]

군사적 충돌과 그에 따른 주요 서방국의 강도 높은 제재 및 맞대응이 현실화해 실물경제·금융시장 전반의 불확실성이 크게 확산하는 경우를 대비해 비상조치 계획을 점검하고 있다.

실물경제 위축을 방지하고 금융시장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선 활용 가능한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하겠다는 입장이다. 유사시 즉각 대응이 이뤄질 수 있도록 이미 마련한 기관별 행동계획(Action Plan)도 구체화하고 있다.

수출·현지 기업 지원 차원에선 코트라와 무역협회를 중심으로 기업인과 핫라인을 구축하고 있다.

공급망 차질에 대비하기 위해선 원자재·에너지·곡물 등 주요 품목의 물량을 사전 확보하고 수입을 다변화하는 등 조처를 하고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