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직장인, 소득보다 기업 이미지 규모 중시

최용민 / 기사승인 : 2020-02-12 12:20:29
  • -
  • +
  • 인쇄
직장인 평균 2.5번 이직, 해외근무 의지 높아

우리나라 직장인은 '나이 어린 상사는 싫고 미국 등 해외 근무는 O.K'라는 생각을 갖고 있으며 여전히 명분을 중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12일 글로벌 인사조직 컨설팅업체 퍼솔켈리 컨설팅은 아시아태평양 14개국 직장인 총 14만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아시아태평양 노동시장 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내용은 근로현황, 조직문화 및 직업 만족도, 일에 대한 의식, 일에 대한 기대와 자기계발 및 성장, 해외 근무 등을 물어 응답한 것을 분석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 직장인들은 평균 2.5차례 이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질랜드 3.9, 홍콩 3.1, 대만 3.0회 등보다 아직은 이직 경험이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한 번도 이직을 해보지 않았다는 응답은 전체의 26%로 일본, 중국, 베트남에 이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그러나 한국 직장인은 '업계 및 시장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이직을 희망하는 비율이 24%로 가장 높았다. 이와 달리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급여에 만족하지 않기 때문'에 이직을 선택해 우리나라 직장인과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 보사에서 우리 직장인들은 특히 동아시아 국가 가운데 해외 근무 의지가 가장 높았고, 일하고 싶은 국가 1위는 미국이었다.

 

다만 본인보다 나이 어린 상사와 일하는 데에는 큰 부담을 느끼고 있었으며, 여성이나 외국인 상사에 대한 수용도도 동아시아 국가 중 낮은 편에 속했다.

 

기업 규모나 인지도를 중시하는 한국 직장인

 

다음으로 한국 직장인이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중시하는 것도 '기업 규모와 인지도'였다. 반면 아시아태평양 14개 국가 중 9개국은 '원하는 소득을 얻는 것'을 꼽았다.

 

한국 직장인 중 '해외에 나가지 않고 우리나라에서 일하고 싶다'고 답한 사람은 9.3%에 불과해 동아시아 국가에서 가장 낮았다. 같은 조사에서 일본은 57%, 뉴질랜드는 26%, 호주는 25%를 각각 기록했다.

 

그만큼 해외 근무에 대한 의지가 높이 나타났다. 일하고 싶은 국가 1위는 미국(52%)이었고, 이어 독일(33%), 호주(31%) 순이었다. 미국은 총 7개국에서 1위를 차지했다.

 

다만 한국 직장인들은 어린 상사, 여성 상사, 외국인 등과 일하는 것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나보다 나이 어린 상사와 일해도 문제없다'는 질문에 대한 응답에서 평균 3.4(5점 만점)을 기록해 최저 수준이었다. 우리 사회와 직장인이 여전히 연령에 대한 의식이 보수적임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관련. 여성 상사나 외국인 등과 일하는 것에 대한 수용도는 일본에 이어 동아시아 국가 중 가장 낮아 사회와 재계의 의식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퍼솔켈리 컨설팅 아태 사장 전유미 대표는 "경영자들은 노동자들의 상이한 생각과 기대 수준을 다양성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글로벌 진출을 준비하는 국내 기업들도 지사별 노동자 기준에 맞는 인사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