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외국인직접투자(FDI) [제공/연합뉴스] |
산업통상자원부는 2021년 상반기 FDI가 신고 기준 131억4천만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71.5% 증가했다고 7일 밝혔다.
실제 투자 도착 기준으로는 57.3% 늘어난 78억4천만달러를 기록했다.
이번 실적은 2018년(신고 157억5천만달러, 도착 102억8천만달러)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이다.
상반기 FDI 실적이 좋았던 것은 지난해 코로나19에 따른 기저효과에 더해 글로벌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코로나19 방역 등을 토대로 한 한국 경제 펀더멘탈(기초여건)에 대한 신뢰 상승과 K-뉴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등 대형 국책사업 연계 유치 등이 복합적으로 기여했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상반기 FDI는 K-뉴딜(디지털·그린) 분야 투자가 크게 확대된 것이 특징이다.
K-뉴딜 전체로는 신고 기준 14억9천만달러에서 39억4천만달러로 163.4% 증가했으며 디지털 뉴딜은 129.3%(14억5천만달러→33억3천만달러), 그린뉴딜은 1천286.8%(4천만달러→6억1천만달러) 각각 늘었다.
대표적으로 쿠팡이 물류시스템 고도화를 위해 3억5천만달러를 투자했다.
또한 스페인의 글로벌 에너지기업 A사와 B사는 각각 인천해상풍력단지 조성 사업과 전남 고흥 태양광 발전 사업을 위한 합작법인 설립에 1억달러씩을 투자했다.
첨단제조(친환경차·배터리), 플랫폼(배달앱·공유경제), K-콘텐츠(영상·웹툰·게임) 등 부가가치와 기술집약도가 높은 신(新)산업 분야에 대한 투자도 늘었다.
신고 기준으로 작년 상반기 38억1천만달러에서 올해 상반기 52억5천만달러로 37.8% 증가했다.
독일 기업 딜리버리히어로(DH)가 배달 앱 '배달의민족' 인수에 21억달러를 투자하면서 전체 투자 규모를 끌어올렸다.
이차전지 소재, 자동차 부품, 의료장비 등 소부장 분야 투자는 신고 기준 11억7천만달러에서 13억4천만달러로 14.7% 확대됐다.
![]() |
▲ 신고·도착 기준 역대 상반기 FDI 실적 [제공/산업통상자원부]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