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 이달 들어 하락 반전…미분양주택 증가에 따른 위험 영향

정민수 기자 / 기사승인 : 2023-06-16 13:23:17
  • -
  • +
  • 인쇄
-6월 전국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82.9로, 전월 86.8 보다 3.9포인트 하락
▲ 사진=아파트 재건축 현장 [제공/연합뉴스]

 

미분양주택 증가에 따른 위험이 반영된 영향으로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이달 들어 하락 반전했다.

16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에 따르면 6월 전국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82.9로, 전월(86.8)보다 3.9포인트 하락했다.

주산연이 한국주택협회, 대한주택건설협회 등 회원사를 통해 조사해 산출하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100 이상이면 경기를 긍정적으로 전망하는 업체 비율이 높고, 100 이하면 그 반대라는 의미다.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작년 6월부터 급격한 하락세를 지속하며 지난 1월 55.8까지 내렸다가 지난 2월부터 반전하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번 달 지수를 지역별로 보면 지난달 106.6을 기록하며 지난해 4월 이후 13개월 만에 100을 웃돌았던 서울 지수가 87.5로 한달 만에 무려 19.1포인트 빠졌으며, 인천은 67.8로 12.2포인트 내렸다.

이에 따라 수도권 지수는 79.7로 전월(90.1)보다 10.4포인트 하락했다.
 

▲ 사진=아파트 재건축 현장 [제공/연합뉴스]
지방은 83.6으로 전월(86.1)보다 2.5포인트 하락했으며, 특히 울산(66.6)이 20.9포인트 내리며 높은 하락 폭을 보였다.

주산연은 "수도권의 지수 하락은 전월의 급격한 지수 상승에 따른 조정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서울과 인천은 지난달 각각 28.6포인트와 13.4포인트가 한번에 올랐다.

따라서 이달 지수 하락이 지속적인 하락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울산은 지난 4월 미분양주택이 전년 동월 대비 약 11.4배 증가했으며 지난달에는 3천여호 주택 입주 시점이 한꺼번에 도래했다.

가장 점수가 높은 지역은 세종과 충북으로 각각 100을 기록했다.

다만 100이라고 해도 기준점 수준이어서 향후 시장 변화를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주산연은 덧붙였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