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해외여행 막히자, 백화점 명품 구매 등 '보복 소비'로 전환

정민수 기자 / 기사승인 : 2022-04-26 13:22:41
  • -
  • +
  • 인쇄
올해 1분기 건별 100만원 이상 고액 소비 전년 같은 기간보다 89% 증가
▲ 사진=서울 시내 한 백화점 [제공/연합뉴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해외여행이 막히자 해외여행에 사용하려던 돈을 명품 구매 등에 쓰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6일 삼성카드가 올해 1분기 건별 100만원 이상 고액 소비를 분석해보니 건수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89% 증가했다.

건별 10만원 이하 결제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 10만~50만원은 62% 늘었다.

올해 1분기 백화점 건별 100만원 이상 결제 연령별 증가율은 40대가 99%로 가장 높았다.

이어 30대 89%, 50대 이상 88%, 20대 56%로 전 연령층에서 100만원 이상 고액 소비가 늘었다.

삼성카드는 "구매력을 가진 30~40대에서 가장 큰 폭으로 고액 소비가 늘었다"면서 "코로나 사태로 억눌린 소비 심리가 명품 구매로 전환되면서 백화점 매출이 급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하듯 최근에는 백화점 영업 시작과 동시에 명품 매장으로 달려가는 '오픈런'에 이어 인기 명품을 사기 위한 수고를 대신해 주는 서비스까지 생겼다.

주요 명품업체들은 보복 소비 추세에 힘입어 지난해 한국에서 매출이 급증했다.

샤넬코리아의 지난해 매출은 1조2천238억원으로 전년보다 31.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천490억원으로 67%나 급증했다.

루이비통코리아의 매출은 전년 대비 40% 늘어난 1조4천681억원, 영업이익은 3천19억원으로 두 배 가까이 뛰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팬데믹 사태로 해외여행이 막히자 그에 상당하는 돈을 명품 등 소비에 쓰는 사람들이 늘었지만, 일상 회복과 함께 해외여행이 풀리면 상황은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