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유심 해킹 속 번호 이동자 지난달 93만명 … KT, 반사이익 최대

이재만 기자 / 기사승인 : 2025-06-02 11:02:29
  • -
  • +
  • 인쇄
2014년 2월 129만7092건 이후 가장 많은 수치
2·3월, KT·LG유플러스서 SK텔레콤으로 번호이동 가입자 4만명대
▲사진=이동통신 3사 
 SK텔레콤에서 지난 4월 발생한 사이버 침해 사고 여파로 지난달 이동통신 번호 이동 건수가 단통법(이동통신 단말 장치 유통 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 시행 이후 처음으로 90만 건을 넘어 섰던 것으로 알려졌다.

 

2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가 공개한 이동 전화 번호 이동자 수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번호이동 수치는 93만 3509건이다. 이는 해킹 사고가 발표되기 전인 지난 3월 대비 77.5%나 급증했다. 전월(69만954건)과 비교해도 35.1% 많다. 지난해 같은 달(55만5373건)과 비교해도 68.1% 폭증했다. 

 

5월 번호이동 규모는 2014년 2월 129만7092건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단통법이 시행됐던 2014년 10월 이후로는 최고 수치다. 지난 4월 번호이동만 해도 상당히 이례적인 규모였다. 2015년 1월 75만6654건이 가장 많은 규모였고, 다음으로는 2017년 11월 69만7180건이었다.

 

이러한 번호 이동 수치 증가는 지난달 22일 SK텔레콤 해킹 사고가 발표 영향이 컸다. SK텔레콤 가입자 이탈이 급속하게 이뤄졌다. 

 

이에 지난달 44만 490건이 SK텔레콤에서 빠져나갔다. 이는 전월보다 85.9%나 증가했다.

 

SK텔레콤 해킹 사고로 인해 가장 이득을 많이 본 통신사는 KT다. SK텔레콤에서 KT로 번호 이동한 가입자는 지난달 19만6685명으로 약 20만명에 달했다.

 

이 숫자는 평소 3만~4만 명대 수준이었으나, 해킹 사고가 발생한 지난 4월부터 9만 5953명으로 대폭 증가한 바 있다.

 

LG유플러스도 지난달 SK텔레콤 고객 15만 8625명이 넘어오면서 반사 이익을 누렸다. LG유플러스에서도 지난 4월 평소의 약 2배인 8만 6005명의 가입자가 SK텔레콤에서 번호 이동해 오는 등 이례적인 움직임이 관찰되고 있다. 알뜰폰으로의 이동도 많았다. SK텔레콤에서 알뜰폰으로 번호 이동한 이용자 수는 8만 5180명으로 집계됐다.

 

평소에는 많아도 5만명대 수준이었다. 이 같은 상황과 달리 KT나 LG유플러스, 알뜰폰에서 SK텔레콤으로 번호 이동한 건수는 각각 1만 명대에 불과했다. 

 

해킹 사고가 발생하기 전인 지난 2월과 3월만 해도 KT와 LG유플러스에서 SK텔레콤으로 번호 이동하는 가입자는 4만 명대, 알뜰폰에서 SK텔레콤으로 번호 이동하는 가입자는 2만명대 수준이었다.

 

SK텔레콤은 최신 스마트폰 모델에 대한 공시지원금과 기기변경(기변) 지원금을 상향하며 대응하고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