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시중은행들, 사회공헌 1조1300억원 썼다

정민수 기자 / 기사승인 : 2020-06-23 10:57:53
  • -
  • +
  • 인쇄
3년간 연평균 1조원 지원 목표로 꾸준히 전개

4조3000억원 금융소외계층에 대출 지원

▲ 취업 고용절벽 경기부진에 몰린 서민들을 위해 지난 한 해 은행권이 1조 넘는 자금을 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연합회가 23일 공개한 '2019 은행 사회공헌활동 보고서'에 따르면 은행연합회와 22개 금융기관(은행·보증기금·한국주택금융공사)은 작년 사회공헌 사업에 총 11359억원을 지원했으며 43000억원 넘는 돈을 서민에게 대출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8(9905억원)보다 15%(1454억원) 늘어난 규모로 이 보고서 발간을 시작한 2006년 이래 가장 크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은행권은 2018년부터 3년간 연평균 1조원, 3조원을 목표로 사회공헌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분야별로 보면 서민금융(마이크로 크레딧)에 가장 많은 5579억원이 쓰였다. 지역·공익 사업에 3702억원이 지원됐다.

 

이어 학술·교육(1011억원), 메세나·체육(869억원), 환경(137억원), 글로벌(61억원) 분야 지원 규모가 컸다.

 

아울러 은행권은 새희망홀씨 대출 등의 형태로 지난해 모두 43005억원을 금융 소외계층에게 대출했다. 이 대출은 자금 성격상 사회공헌활동 금액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5대 시중은행의 개별 사회공헌활동 실적(금액)을 보면, 신한은행이 1961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KB국민은행이 1811억원으로 2위였고, NH농협은행이 1592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의 사회공헌 활동 금액은 각 1483억원, 1380억원으로 집계됐다.

서민대출 금액은 신한은행(9471억원), 하나은행(6389억원), 우리은행(6270억원), 국민은행(5846억원), 농협(5505억원) 순으로 많았다.

 

사회공헌을 전담하는 직원 수는 신한은행(17), 하나은행(17), 국민은행(14), 우리은행(11) 등이 10명 이상을 두고 있다. 농협은행은 3명이다.

이와 같은 은행권의 사회공헌 활동과 서민금융 지원책은 올해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더욱 큰 영향과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핫이슈 기사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