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신라면과 짜파구리의 매출이 눈부시다. 신라면이 신났다는 표현이 딱 들어맞는 상황이다. 특히 해외매출 신장세가 돋보인다. 해외 실적을 견인한 라면은 대표 제품 '신라면'을 비롯해 영화 '기생충'에 힘입은 '짜파구리'(짜파게티+너구리) 등이다.
농심은 4일 올해 해외 매출이 작년보다 24% 증가한 9억9000만달러(1조1206억원)로, 사상 최대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농심은 "미국·중국 등 주요 법인의 매출이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으로 전 세계에서 라면 소비가 급증해 수출이 크게 늘어났다"고 해외 신장세를 설명했다.
농심은 코로나19 확산으로 간편식 수요가 급증하면서 미국과 중국 현지 생산 라인을 완전가동하고 수출 물량을 늘렸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월마트와 코스트코 등 현지 대형 마트를 적극적으로 공략한 덕분에 올해는 작년보다 약 28% 증가한 3억2600만달러(약 3694억원)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신라면은 올해 미국에서만 1억2만달러(약 1359억원)의 매출이 예상된다. 독보적인 성장세다.
유럽 시장에서는 영국 테스코·모리슨·아스다, 독일 레베·에데카 등 주요 유통업체를 중심으로 영업망을 구축했다. 농심은 이를 통해 올해 유럽 수출액이 작년 대비 30%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말과 내년도 영업 실적이 기대되는 이유다.
농심은 "해외 사업의 핵심은 신라면"이라며 신라면의 해외 매출이 작년 대비 30% 증가한 3억9000만달러(약 4428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면서 "신라면을 출시 35년을 맞는 내년에는 연 매출 1조원의 브랜드로 키워 K-푸드의 위상을 높여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농심은 내년 해외사업 매출 목표를 올해보다 12% 증가한 11억1000만달러(약 1조2618억원)로 잡았다.
한편, 유로모니터가 지난달 26일 발표한 '2019∼2020년 포장 식품-인스턴트 누들' 통계 자료에 따르면 농심은 한국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전 세계 라면기업 5위에 이름을 올렸다.
농심의 세계 라면시장 점유율은 5.7%로, 중국 캉스푸(13.4%), 일본 닛신(9.9%), 인도네시아 인도푸드(7.5%), 일본 토요스이산(7.3%)의 뒤를 이었다.
유통 전문가들은 중국이나 일본 인니의 시장은 자국 인구가 워낙 많고 인지도에서 앞서가기 때문에 그리 내세울 것도 없지만 농심의 해외매출은 맨 땅에 뛰어들어 이만큼의 실적을 거둔 것이라 높이 평가받을 만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