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수산물 수입가격…작년 같은 달보다 31.7% 상승

이재만 기자 / 기사승인 : 2022-04-04 11:52:05
  • -
  • +
  • 인쇄
작년 12월과 올해 1월에 이어 3개월째 30% 이상의 상승률
▲ 사진=서울시내 한 대형마트의 호주산 쇠고기 판매대 [제공/연합뉴스]

 

농축수산물 수입가격지수가 1년 전보다 30% 이상 올라 서민 살림살이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4일 한국무역통계진흥원에 따르면 지난 2월 농축수산물 수입가격지수는 112.6(2015=100)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31.7% 상승했다.

작년 12월(33.5%)과 올해 1월(31.5%)에 이어 3개월째 30% 이상의 상승률을 보였다.

전월 대비 상승률은 0.8%로 작년 12월(7.9%)과 올해 1월(1.6%)보다 줄었다.

부문별로 보면 농산물 수입가격지수가 1년 전보다 33.3% 올랐다.

곡물류는 생두(68.1%), 제분용 밀(58.4%), 사료용 옥수수(52.4%), 가공용 옥수수(45.2%) 등을 중심으로 42.3% 올랐다.

밀과 옥수수 등은 가공식품의 원재료로 널리 쓰이기 때문에 가격이 오를 때 소비자들의 체감도가 높다.

채소류는 양파(57.3%), 마늘(52.3%), 무(270.6%), 당근(61.8%) 등 9개 품목이 모두 올랐다.

과일류도 파인애플(20.7%), 포도(19.1%), 레몬(13.6%) 등 6개 품목 모두 상승했다.

축산물 수입가격지수도 1년 전보다 36.7% 올랐다.

냉동 소고기가 53.3%, 냉장 소고기가 47.7% 올랐다. 닭고기와 돼지고기 수입가격지수도 1년 전보다 각각 47.5%, 6.4% 올랐다.

수산물 수입가격지수는 13.5% 올랐다. 활어가 38.6%, 신선어류는 30.0%, 냉동어류는 8.8% 상승했다.

글로벌 공급망 차질과 코로나19 회복 과정에서의 수요 확대, 지정학적 리스크 등은 전 세계의 밥상 물가를 밀어 올리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지난 2월 말부터 국제 곡물 가격 등이 급등한 만큼 3월에는 수입물가가 더 가파르게 올랐을 가능성이 크다.

한국으로서는 달러 대비 원화 약세도 수입가격 오름세를 키우는 요인이다.

지난 2월 농축수산물 수입가격지수는 원화 기준으로 작년 같은 달 대비 31.7% 상승했지만, 달러 기준 상승률은 22.0%로 이보다 낮았다.

 

▲ [제공/한국무역통계진흥원]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핫이슈 기사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