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공=인크루트 |
올 한해 대졸공채를 진행한 기업은 3분의 1에 그쳤고, 채용규모도 대졸 신입사원보다 경력직이 더 많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인크루트가 알바콜과 함께 올해 채용을 진행한 기업 705곳을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대기업(종업원수 1000명 이상~) 104곳 △중견기업(종업원수 300명~999명) 157곳 △중소기업 (종업원수 299명 이하~) 444곳이 참여했다.
먼저 올해 채용 대상 및 전형(복수선택)을 살펴본 결과 신입 및 경력채용 진행 비율은 각 6대 4로 나타났다. '대졸 공채' 29.3% (상반기 15.6%, 하반기 13.7%), '대졸 수시' 19.3%, '대졸 인턴' 12.5% (하계 7.0%, 동계 5.5%) 등 신입사원 채용 비율이 도합 61.1%, 나머지 38.9%는 '경력직 수시충원'이었다.
단일항목 기준으로는 경력수시충원 비율이 가장 높은 가운데 대졸인턴 모집내역이 채용전제형이 아닌 체험형에 해당되는 경우 신입 선발 비율은 좀 더 줄어든다.
기업별로는 대기업의 '대졸공채'(51.7%)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서 △중견기업 39.5% △중소기업 17.4% 순으로 집계됐다. 반대로 '경력직 수시충원' 비율은 △중소기업(47.2%) △중견(32.8%) △대기업(21.8%) 순으로 줄며 앞서 대졸공채 비율과는 반대양상을 보였다.
업종별로는 △건설(52.6%) △물류(45.3%) △의료(43.2%) 분야에서 '경력채용' 비율이, △금융(41.3%) △전자ㆍ반도체(40.4%) △미디어방송(40.0%) 분야에서는 '대졸공채' 비율이 각각 높게 나타났다.
채용규모(단일선택)의 경우 신입 및 경력 중 더 많이 모집한 대상을 비교해 선택한 결과 △비슷하다(35.9%) △신입사원을 더 뽑았다(29.0%) △경력직을 더 뽑았다(35.1%) 순으로 각각 추려졌다. 신입보다 '경력을 더 많이 뽑았다'는 기업이 약 5분의 1가량 좀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채용방식은 '온라인' 전형을 택한 비율은 49.0%, 나머지 49.8%는 '오프라인' 전형을 실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이 채택한 온라인 채용전형으로는 △화상면접(15.1%) △온라인 인성검사(13.8%) △온라인 적성검사(11.7%)가 주를 이뤘다. 또한 △AI평가(5.2%) △온라인 코딩테스트(3.3%) 등도 확인됐다. 반대로 오프라인 전형의 경우 '오프라인 면접'(43.0%)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가운데 '오프라인 지필시험'(6.8%)도 일부 확인됐다.
인크루트 관계자는 "올해 조사상 가장 큰 특징은 전체 기업의 3분의 1가량만 대졸공채를 모집했고, 그나마 대기업 공채비율이 50%대로 나타나다"며 "채용규모 역시 경력직이 앞섰다는 점은 즉시 전력감을 지닌 이들을 좀 더 선호한 결과로, 이는 곧 경기침체를 맞닥뜨린 기업의 채용 보수성이 짙어진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