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년 자산 불평등 심화…상위 20% 자산 크게 늘어 '역대 최대'

안정미 기자 / 기사승인 : 2022-12-07 08:57:04
  • -
  • +
  • 인쇄
-상위 20% 부동산 자산 10.7%↑…하위 20% 부동산 자산 9.3%↓
-순자산 지니계수 10년만에 가장 높아…자산 불평등 심화
▲사진=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제공/연합뉴스]
지난2008년 이후 급격하게 오르기 시작했던 부동산 가격은 서민들에게 내집마련의 꿈을 포기하게 만드는 지경에 까지 이르고있으나 코로나19사태와  우크라이나발 경기 침체 속에 조금은 하락하는 모양세이나 아직도 서민들은 지금의 부동산 가격을 그저 바라만 볼 수 밖에 없다.

     

이런 가운데 올해 자산 상위 20% 가구와 하위 20% 가구 간의 자산 격차가 역대 가장 컸던 것으로 7일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서 나타난 것을 보면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의 불평등도를 보여주는 순자산 지니계수도 10년 만에 가장 높았다.

 

이날 통계청의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자산 상위 20%(자산 5분위) 가구의 자산은 평균 16억5천457만원으로 이는 하위 20%(자산 1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 2천584만원의 64.0배에 이르는 규모다.

 

상위 20%와 하위 20%의 자산 격차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2년 이후 최대다. 종전 최대는 2012년 62.4배였다.

 

지난 5년간 부동산 시장이 호황을 이루면서 관련 자산의 비중이 높은 상위 20%의 자산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이를 반영하듯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가계금융복지조사 비교 시점인 2021년 3월부터 지난 3월까지 전국 주택 매매 가격은 7.47% 상승했던 것으로 조사 됐으며 상위 20%의 경우 자산이 1년 전보다 1억3천769만원(9.1%) 늘었다. 이중 부동산이 1억2천853만원(10.7%) 증가해 대부분을 차지했다.

 

부동산 자산을 보유한 가구 비중을 보면 5분위 중에서는 98.6%가 부동산 자산을 보유했고 상위 20% 대부분이 부동산을 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다는 의미로 보여지며 반면 1분위는 10.1%에 그쳤다.

 

이렇듯 부동산의 자산 격차가 전체 자산의 격차로 이어지는 모습이다. 다만 최근 부동산 가격이 하락해 현재 체감하는 상황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1분위의 자산은 1년 전보다 13만원(0.5%) 줄었다. 부동산 자산이 9.3% 감소하는 등 분위 가운데 유일하게 전체 자산이 줄었다.

 

이는 MZ 세대의 1인 가구가 많이 늘어난 결과라는 게 통계청의 설명으로 가구를 기준으로 집계하는 가계금융복지조사 특성상 자산을 적게 가진 사회초년생 등이 취업 등을 이유로 독립하면서 새로 1분위에 편입되는 경우가 늘었다는 것이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으로 봐도 1년 전보다 자산 불평등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평등도를 측정하는 순자산 지니계수는 0.606이었다. 

 

이같은 현상은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2년(0.617)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한편 지니계수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도가 높다는 의미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핫이슈 기사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