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새도래지인 충남 태안군 남면 천수만 간척지 부남호 인근에서 태안군 방역 차량이 조류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 유입을 막기 위한 방역을 하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
충북의 오리 농장 110곳 중 절반이 넘는 62곳(56.4%)이 올겨울 오리 사육을 중단한다. 겨울철 주로 발생하는 조류인플루엔자(AI) 예방을 위한 선제조치다.
27일 충북도가 오리 농가에 보상금을 주고 사육을 일시 중단하는 '겨울철 휴지기제' 참여 접수 결과 56.4%가 사육을 중단했다.
충북의 농장 110곳에서 사육하는 오리는 약 150만 마리 이상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 중 휴지기제로 약 80만여 마리(51.3%)가 일시적으로 농장에서 사육을 중단한다.
도 측은 해당 사육 중단 조치에 대해 내년 3월까지 넉달간 휴지 기간이 운영되며, 통상 2개월 단위로 새끼오리 입식이 이뤄지는 점을 고려하면 최대 161만 마리를 사육 중단하는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조류 인플루엔자 우려에…농축산부 감염 방지 최선
이같은 조치는 야생 조류에서 비롯되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감염 우려가 커짐에 따른 관계당국과의 연계된 조치로 해석된다.
실제로 충북은 2017년 오리 농가 휴지기제를 도입한 이래 매년 50% 이상의 참여율을 유지해 왔다.
이번 휴지기제에 참여하게 될 경우 참여하는 오리 농장은 위험시기를 고려해 다음 달 10일까지 사육 중인 오리를 전량 출하할 의무를 지게 된다.
대신 해당 농장에는 오리 사육을 통해 얻는 수익금의 70∼80% 정도가 보상금으로 지급된다.
도 관계자는 휴지기제의 효과에 대해 "AI 발생이 우려되는 밀집 사육지역이나 2차례 이상 발생한 지역, 야생조류가 서식하는 하천 주변 농가 등을 중심으로 오리 사육을 중단하면 AI 발생으로 가금류를 대량 살처분하는 최소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휴지기제와 별개로 야생조류로부터 가금류 농가로 AI 바이러스가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방역을 강화하는 조치도 속속 행해지고 있다.
실제로 충남 천안 봉강천 야생조류에서 H5N8형 고병원성 AI가 검출되고, 도내 철새 서식 수가 늘고 있어 이같은 조치에는 차츰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이달 기준 증평 보강천의 야생조류 서식 수는 작년보다 101%나 급증했다. 청주 미호천과 무심천도 각각 36%, 45%씩 늘었다.
충북도는 이같은 상황에 근거해 도내 주요 철새도래지 6곳에 대해 축산차량 통제와 낚시 등 천렵 행위를 금지하는 조치를 발효한다.
인근 농로와 주변 농가는 농협에서 지원받은 광역방제기 6대 외에 드론 6대를 동원해 소독한다.
예찰 장소와 빈도를 늘려 철새 감염 상황을 조기에 검색하는 철새 경보시스템 운영도 강화했다.
도 관계자는 "다음 달 이후 더 많은 철새 도래가 예상되는 만큼 그 여느 때보다 엄중한 상황임을 인식하고, 바이러스 유입 차단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다짐했다.
AI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한 조처에 각 당국들이 애쓰는 가운데, 농축산 업계 관련 전문가들은 휴지기제가 기본적으로 농민의 소득을 일부 보전해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만, 참여하지 않은 농가에서 감염이 확산될 경우 여전히 큰 피해가 우려된다는 점에서 방역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철새도래지부터 농장으로 가는 유입경로 차단에 힘쓰는 한편, 가금농장과 철새도래지에 대한 출입제한 조치와 방역 수칙 준수에 앞장서줄 것을 농가와 각 지자체 주민들에게 당부하고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