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쌍용차 상거래 채권단, 21일 오후 쌍용차 회생계획 탄원서 및 반대 동의서 제출 [제공/연합뉴스] |
쌍용차 상거래 채권단은 21일 오후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의 쌍용차 인수·합병(M&A)을 반대하는 내용의 탄원서를 서울회생법원에 제출했다.
상거래 채권단은 상거래 채권 확보를 위해 344개 협력사가 모여 구성한 단체다.
채권단은 344개 업체 중 258개 업체(채권액 기준 92.3%)가 서명한 에디슨모터스 인수 반대 동의서도 함께 제출했다.
앞서 쌍용차는 회생채권 약 5천470억원의 1.75%만 현금으로 변제하고 98.25%는 출자 전환하는 내용이 담긴 회생계획안을 법원에 제출했다.
채권단은 탄원서에서 "에디슨모터스의 자금 능력과 사업 계획을 신뢰할 수 없다"며 "쌍용차를 법정관리 체제로 유지하고, 기업 가치를 높여 새로운 인수자를 찾을 수 있도록 추가적인 M&A 추진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채권단은 "지금의 어려움을 감내하면서 진정한 새 주인을 찾을 때까지 채권단 스스로 쌍용차 미래를 위한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라며 "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한 번 더 법정관리의 기회를 주기를 바란다"고 요청했다.
채권단은 "1.75% 변제율에 분노를 금치 못하며 이것이 공정과 상식에 맞는 것인지, 이 돈을 받으려고 지금까지 고통을 감내한 것인지 정말 참담할 뿐"이라며 "채권단의 60% 이상이 중소·중견기업이고, 가족까지 포함한 생계 인원은 30만명 이상"이라고 호소했다.
이어 "2조원이 넘는 매출을 올리는 쌍용차를 단돈 3천억원에 인수하겠다는데 회생채권은 물론 공익채권도 못 갚는 실정"이라며 "에디슨모터스의 자금 능력이 얼마나 열악한지 여실히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에디슨모터스는 어떤 기술력도 보여주지 못하면서 단지 쌍용차 자산을 담보로 차입 경영한다는 불순한 의도만 보여주고 있다. 채권단은 강력히 이번 M&A를 반대한다"고 단언했다.
채권단은 아울러 "채권자들의 반대에도 법원이 회생계획안을 강제 인가할 경우 일부 협력사의 공급 거부 등에 따른 쌍용차 생산 중단으로 전체 협력사의 파국을 초래할 수 있다"며 "공장 가동이 중단되면 쌍용차는 파산 수순으로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