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기술 우주개발계획 누리호 내년 2월 10월 시험 발사

최여정 / 기사승인 : 2020-07-06 10:13:47
  • -
  • +
  • 인쇄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300t 엔진 하반기 연소시험 돌입

항우연, 발사대 검증시험 마친 뒤 내년 2월·10월 시험발사

▲지난 1월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조립동에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II) 1단 체계개발모델(EM)이 공개되고 있다. 사진 왼쪽이 2단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출처=연합뉴스]


 

코로나19 감염 확산 속에서도 누리호 발사 계획이 착착 진행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이 오는 875t급 엔진 4개를 묶은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300t1단부 성능을 평가하는 '수류시험'을 마치고 하반기에 연소시험에 돌입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조상연 발사체보증팀장은 한국과학기자협회가 지난 3일 서울 광화문에서 개최한 제1회 항공우주아카데미에서 '독자 개발 누리호와 미래 발사체 개발' 발표를 통해 이같이 설명했다.

 

조 팀장은 "75톤급 엔진 4개를 클러스터링한 누리호 로켓 1단의 인증모델(QM)을 만들어 하반기에 연소시험을 할 예정"이라며 "조립한 발사체를 발사대에 세워 통신 연결과 추진제 충전 등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는 시험도 진행한다"고 말했다.

 

누리호는 설계·제작·시험·발사까지 국내 기술로 개발하는 우주발사체로, 내년 2월과 10월 두 번에 걸쳐 진행될 시험 발사를 앞두고 있다.

 

누리호 시험 발사계획은 1.5t 탑재체를 고도 600~800의 태양동기궤도에 올려놓는 것을 목표로 한 3단 로켓으로 길이가 47.2, 중량은 약 200t에 달한다.

 

로켓 1단은 75t급 액체엔진 4개 묶음(clustering)으로 300t급이며, 2단은 75t급 액체엔진 1, 3단은 7t급 액체엔진이다.

 

우주개발 산물이 국내 과학기술계 큰 소득될 소지

 

현재 항우연은 3단형 발사체 시스템 기술 개발을 마치고, 비행모델(FM) 조립을 앞두고 있다.

 

앞서 항우연은 지난 201811월 누리호를 구성하는 기본 엔진인 75t급 액체엔진 1기를 시험 발사해 성공했다.

 

올 하반기에 진행될 '클러스터링'에 대해 조 팀장은 "국내에서 해본 적이 없어 우리가 '기술적으로 넘어야 하는 산'"이라며 "발생 가능성이 있는 문제를 예상하고 분석하지만, 직접 부딪치면서 문제를 풀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누리호 발사를 위한 발사대 시스템은 인터페이스 점검 등을 위한 독립성능시험을 수행 중이며, 향후 발사대 시스템 자체 성능 실험을 앞두고 있다.

 

항우연은 클러스터링한 누리호 인증모델을 조립해 하나의 발사체로 만들고 발사대에서 시험하는 발사대 검증시험이 끝나면 누리호 비행모델을 발사대에 올려 실제 발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조 팀장은 "한국형 발사체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두 차례의 누리호 발사 이후에도 한국형 발사체를 4회 발사할 계획"이라며 "누리호의 기술을 이전하기 위한 기술이전 체제를 수립하고, 개량형 한국형발사체를 민관 공동으로 연구·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과학자들은 누리호 개발이 가져올 결과물이 국내 우주 및 항공 관련 과학기술산업에 미칠 영향력이 지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NASA의 경우, 민간에게 이전한 많은 기술과학 자료들이 미국 항공우주 및 산업계에 막대한 부를 창출해 준 사실이 이를 입증하고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