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전국 32곳 중형 고용센터 설치로 서비스 강화

최용민 / 기사승인 : 2020-06-26 08:23:04
  • -
  • +
  • 인쇄
내년 1월부터는 국민취업지원제도 업무 병행

출장소도 40곳 추가, 현장 고충과 대 국민 실질 서비스 높여

▲ 찾아가는 행정을 예고한 고용노동부. [출처=연합뉴스]

 

 

지금까지는 앉아서 기다리며 고용 행정을 해 왔다면 이제부터는 지역 현장성을 강화하여 고용의 질을 높이고 국민취업 지원책을 적극 전개한다. 고용노동부 방침이다.

 

고용노동부는 올해 안으로 전국 32곳에 중형 고용센터를 설치해 취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5일 밝혔다.

 

새로 설치되는 중형 고용센터에는 고용센터와 지방자치단체 등의 직원 5명 안팎이 배치돼 국민취업지원제도를 포함한 고용 서비스 업무를 하게 된다특히 그동안 고용 사각지대에서 정부 대책의 소외를 겪어온 이들에 대한 심층 지원책이 다양하게 강구될 전망이다.

 

내년 1월부터 시행되는 국민취업지원제도는 저소득층 구직자에게 1인당 월 50만원씩 최장 6개월 동안 구직촉진수당을 지급하고 맞춤형 취업 지원 서비스를 하는 것으로, 고용보험의 혜택을 못 보는 특수고용직, 프리랜서, 미취업 청년, 경력 단절 여성 등이 대상이다.

 

중형 고용센터 설치 예정지는 중부권 8, 충청권 8, 경북권 4, 경남권 4, 전라권 8곳이다. 노동부는 오는 10월부터 시작해 연말까지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전국 40개 시·군에 고용 서비스 출장소도 설치된다. 지자체 등에 설치되는 출장소는 고용센터 직원이 주 23회 방문해 취업 알선을 포함한 고용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전국에는 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포함한 고용센터가 101곳에 설치돼 있다. 여기에 중형 고용센터와 출장소 72곳이 더해지면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한 고용 서비스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노동부는 기대하고 있다.

 

고용노동부의 현장성이 그만큼 강화될 것이 기대되는 부분이다특히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지역 40곳에는 이동출장소가 설치되는 부분이 기대되는 행정이라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이를 통해 고용센터 직원이 주 2~3회 방문해 고용서비스 종합안내, 취업알선 등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용 전문가들은 책상 행정과 현장 행정은 질이 다른 부분이 존재한다면서 과연 취업 현장에는 어떤 애로가 있는지, 당장 필요한 지원책은 무엇인지를 제대로 살필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핫이슈 기사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