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연합뉴스 |
사회적 거리두기의 효과에 대한 과학적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회적 거리 두기와 휴교 등 강력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억제 조치가 없었다면 한국인 10명 중 7명이 코로나19에 감염됐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온 것이다.
워싱턴포스트(WP)와 폭스뉴스가 8일(현지시간) 보도한 바에 따르면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UC버클리) 연구진들은 한국과 미국, 프랑스, 중국, 이탈리아, 이란 등 6개국에서 봉쇄령 등 코로나19 확산 억제 정책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이같은 결과를 얻었다는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저널 네이처에 실렸다.
연구진은 "억제 정책이 없었다면 코로나19의 초기 전파는 하루 약 38%의 기하급수적 증가세를 보였을 것으로 추정한다"며 "우리는 감염 억제 정책이 이 증가를 상당히 많이 늦췄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이들 6개국에서 자택 대피령이나 기업체·점포 폐쇄, 여행 금지 등 코로나19 억제 조치가 내려지기 전과 후의 감염률을 조사했다.
이를 통해 이들 6개국에서 모두 6200만명이 검사를 통해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는 것을 피했다고 결론 내렸다.
연구진은 또 감염됐는데도 검사를 받지 않아 감염 사실을 모른 채 넘어가는 경우를 포함할 경우 약 5억3000만명이 코로나19 감염을 피한 것으로 추정했다.
이를 국가별로 보면 한국이 3800만명, 미국이 6000만명, 중국이 2억8500만명, 프랑스가 4500만명, 이란이 5400만명, 이탈리아가 4900만명이었다.
지난해 기준 한국의 주민등록 인구가 5184만여명이었던 것에 비춰보면 10명 중 7명(73.3%)이 억제 조치로 코로나19 감염을 피한 셈이다.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연구진도 이날 네이처에 비슷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영국을 포함한 유럽 11개국에서 봉쇄령이 310만명의 목숨을 구했고 감염률을 평균 82% 낮췄다는 것이다.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연구진은 지금까지 연구 대상 국가 인구의 약 3∼4%만 코로나19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지금은 이 전염병의 시작에 불과하다. 우리가 집단면역에 도달하기까지 아직도 멀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또 "우리는 나라를 영원히 봉쇄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코로나19 확산 억제를 위한 일부 조치를 시행하는 한에서 경제 활동을 어느 정도 정상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WP는 이번 연구 결과가 "공격적이고 전례 없는 봉쇄령이 방대한 경제적 타격과 실직을 낳기는 했지만 코로나19의 기하급수적 확산을 멈추는 데는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방역 전문가들은 이런 과학적인 조사 결과를 볼 때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지켜준 것임을 알게 해 준다면서 일각에서 집단 면역 운운 하며 봉쇄조치 자체의 무용성을 이야기하는 것은 헛된 꿈이고 망상이라고 일갈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