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서울 시내 은행 대출안내문 [제공/연합뉴스] |
지난 2분기(4∼6월) 가계 빚이 1천869조원을 넘어섰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2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천869조4천억원으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3년 이래 가장 많았다.
2003년 이전 가계신용 규모는 지금보다 훨씬 작았기 때문에 사실상 최대 기록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빚(부채)'을 말한다.
기본적으로 경제 규모 확대, 부동산 가격 상승 등과 함께 가계신용 규모는 분기마다 기록을 경신하며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이후 가파르게 늘었던 가계신용은 올해 들어 금리가 상승하고 주택시장도 얼어붙으면서 둔화했다.
2분기 말 가계신용은 1분기 말(1천862조9천억원)보다 6조4천억원(0.3%) 늘었다.
증가액이 직전 분기(1분기 400억원)보다 많았지만, 지난해 분기마다 수십조원씩 늘었던 것과 비교하면 증가 폭은 축소됐다.
작년 2분기 말(1천810조6천억원)과 비교하면 가계신용은 1년 새 58조8천억원(3.2%) 늘었다.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카드 대금)을 빼고 가계대출만 보면, 2분기 말 현재 잔액은 1천757조9천억원으로 집계됐다.
1분기 말(1천756조3천억원)보다 1조6천억원 늘었다. 1분기 8천억원 감소에서 한 분기 만에 증가 전환했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잔액 1천1조4천억원)은 2분기 8조7천억원 늘어 증가 폭이 1분기(8조1천억원)보다 확대됐다.
박창현 한은 경제통계팀장은 "2분기 주택매매와 전세거래가 전 분기에 비해 다소 증가했다"며 "전세와 집단대출을 중심으로 주담대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