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한국 경제의 연간 성장률 평균 2.0%…국내외 경제연구기관과 증권사 전망

정민수 기자 / 기사승인 : 2024-01-01 09:37:55
  • -
  • +
  • 인쇄
상반기 성장률은 2.1%, 하반기 성장률은 2.0%로 각각 전망
▲ 사진=부산항 신선대와 감만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 [제공/연합뉴스]

 

내외 주요 경제연구기관과 증권사들이 새해 한국 경제의 연간 성장률로 평균 2.0%를 제시했다.

31일 관가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책 연구기관과 민간 연구소, 국제기구, 증권사 등 20곳이 발표한 내년도 한국경제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는 평균 2.0%로 집계됐다.

기관별로 보면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과 산업연구원은 각각 2.2%, 2.0%를 전망했다.

사단법인 한국금융연구원은 2.1%를 제시했다.

이들의 전망치는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내년 성장률 전망치(2.1%)와 대체로 비슷하다.

정부가 지난 7월 발표한 전망치(2.4%) 보다는 낮다.

상반기 성장률은 평균 2.2%, 하반기 성장률은 평균 1.9%로 각각 전망됐다.

KDI는 보고서에서 "내년 성장률은 '고(高)'라기 보다는 '중'(中)에 가까운 수준으로 올라가는 것"이라며 "내수 증가세 둔화가 예상되지만, 수출을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가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산업연구원은 "2024년 국내경제는 IT 경기의 완만한 회복세에 힘입어 수출과 설비투자가 증가세로 돌아설 것"이라면서도 "고물가·고금리의 영향으로 소비 성장세가 둔화하고 건설투자가 위축되면서 완만한 성장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 주요 기관 2024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 [제공/연합뉴스]

국제기구들 역시 비슷한 전망을 내놨다.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개발은행(ADB),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내년 한국 경제의 성장률을 평균 2.2%로 전망했다.

반도체 경기 회복에 따른 수출 개선, 중국 경기 회복 효과 등에 힘입어 올해보다 성장률이 증가하겠지만, 가계·기업부채 부담 증가 등은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게 공통된 분석이었다.

민간 경제연구소와 증권사 리서치센터들은 상대적으로 더 낮은 전망치를 내놨다.

현대경제연구원과 LG경영연구원, 우리금융경영연구소, 하나금융경영연구소, 한국경제인협회는 내년 한국경제가 평균 2.0% 성장할 것으로 봤다.

상반기 성장률은 2.1%, 하반기 성장률은 2.0%로 각각 전망됐다.

가장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은 곳은 LG경영연구원이었다.

상반기 1.9%, 하반기 1.7% 성장하면서 연간으로 1.8%에 머무는 저성장을 예상했다.

LG경영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인플레이션 우려 지속으로 금리를 조기에 크게 낮추기도 어렵고, 정부가 재정지출을 적극적으로 늘리기도 어려운 상황"이라며 "과거 경제위기 상황을 제외하면 처음으로 2년 연속 2% 경제성장률에 미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SK증권, 신한투자증권, KB증권, 메리츠증권, 한화투자증권, 키움증권, 하나증권 등 증권사 9곳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 평균도 2.0%에 그친다.

전망치가 가장 낮은 신한투자증권은 1.7%, 가장 높은 메리츠증권은 2.3%로 각각 예상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핫이슈 기사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